이주열, 추가 금리 인상 시사…“여전히 낮은 수준”

입력 2021-08-26 15:05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연합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75%로 인상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누적된 금융불균형을 완화해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에 첫발을 뗀 것”이라며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 총재는 26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저금리가 오랫동안 지속되다보니 차입에 의한 과도한 수익 추구행위가 나타났다”며 “이제 이런 불균형을 해소하는 데 역점을 두겠다. 경기 개선에 맞춰 금리를 정상화시키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금융불균형이라는 게 이번 조치(기준금리 인상) 하나로 해소되는 건 당연히 아니다”며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를 올리면 경제 주체들의 차입 비용이 높아지고, 위험 선호 성향을 낮추게 되기 때문에 가계부채 증가세나 주택가격 오름세를 둔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연합

이어 “기준금리 인상에도 금리 수준은 여전히 완화적”이라며 “지금 실물경기에 제약을 주는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당연히 우리가 추정하는 중립금리보다도 여전히 낮은 수준에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국이 ‘부채의 함정’ 상태가 아니냐는 우려에는 “금리를 올렸을 경우 이자부담이 과도해진다든가, 금리를 올리면 소비와 투자 위축을 초래하는 상황, 소비·이자 때문에 금리를 못 올릴 것이라는 게 부채함정”이라며 “그런데 경제주체들의 이자부담 능력이나, 소비 여력, 가계 저축 정도를 보면 부채의 함정에 빠졌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금리의 구체적인 추가 인상 시점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그는 “앞으로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점진적으로 조정해 나갈 것”이라며 “기준금리 추가 조정은 코로나 상황과 경기 변동,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움직임 등을 보고 결정하겠다. 늘 그렇듯 서두르지도, 지체해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