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강행 추진하고 있는 ‘언론중재법 개정안’(언론법)에 대해 국민 절반 이상이 반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리서치가 쿠키뉴스 의뢰로 지난 23일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민주당이 추진하는 언론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물었을 때, 전체 응답자 중 절반을 넘는 50.9%가 ‘반대’라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적극적으로 반대’한다는 대답이 32.0%였으며, ‘다소 반대’한다는 응답은 18.9%였다.
반면 찬성(적극 찬성 25.2%·다소 찬성 13.5%)이라고 답한 사람은 38.7%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0.4%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영남, 충청 등 대부분 지역에서 반대 의견이 50%를 웃돌았다. 호남에서만 찬성 비율이 68.8%로 높게 나왔다.
연령별로는 18~29세(55.4%), 30대(49.4%), 60대 이상(60%) 등 주로 청년과 노년층에서 반대 비율이 높았다. 40대(46.5%)와 50대(47.8%)에서는 찬성 비율이 다소 높게 나왔지만, 오차범위 안이었다.
정치성향별로는 진보층(65.9%)에서만 찬성 응답이 우세했다. 보수층(68.1%)과 중도층(53.6%)은 모두 언론법 강행 추진에 부정적인 모습이었다.
‘언론법 내용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나’라고 묻었을 때 ‘알고 있다’는 응답은 72.7%(매우 잘 알고 있다 26.3%·조금 알고 있다 46.4%)로 대다수 응답자들은 언론법 내용에 대해서도 이미 어느 정도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모른다’는 답변은 24.1%(전혀 모른다 5.0%·별로 잘 모른다 19.1%)에 불과했다. 사안에 관해 답변을 회피하는 의미의 ‘잘 모르겠다’는 비율은 3.2%였다.
다만 ‘언론사에 5배의 징벌적 손해배상 적용에 어떻게 생각하는가’라고 물었을 때는 전체 응답자의 50.4%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언론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반대한다’는 답변은 35.8%였으며, ‘기타’는 8.2%, ‘잘 모름/무응답’은 5.6%로 집계됐다.
이번 여론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ARS(무선 99%, 유선 1%, 무작위 RDD추출)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설문응답률은 9.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보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데이터리서치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