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언론중재법 개정안 일방 추진에 대한 국경없는기자회(RSF)의 비판을 두고 “자기들이 우리 사정을 어떻게 아나”라고 말했다.
송 대표는 25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건 뭣도 모르니까. 뭐든지 그러지 않느냐. 우리도 언론단체에서 쓰면 그것을 인용하지 않느냐”면서 이같이 답했다.
국경없는기자회는 민주당이 이날 새벽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국회 법제사법위에서 강행 처리하기에 앞서 의원들에게 언론중재법 개정안 채택을 자제해달라고 요구하는 내용의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이에 앞서 국제기자연맹(IFJ)도 지난 21일 한국기자협회에 보낸 성명에서 “IFJ는 표현의 자유를 억누르는 이 법안의 폐지를 요구하며 25일 본회의에서 부결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임승호 대변인은 송 대표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언론재갈법’을 통해 언론에 목줄을 채우겠다는 탐욕에 사로잡혀있으니 국제 사회의 우려조차 노골적으로 조롱하는 것 아니겠는가”라며 “여당에 유리할 때는 대통령이 직접 나서 국경없는기자회를 만나더니, 불리해지자 ‘뭣도 모르는 단체’로 폄하하는 태세 전환은 경악스럽다”고 비판했다.
임 대변인은 그러면서 “제1야당뿐만 아니라 정의당, 대다수 언론노조, 당내 의원조차 ‘언론재갈법’에 반대하는 이유를 송 대표는 진정 모르는 것인가”라며 “‘언론재갈법’에 대한 국제 사회의 우려를 희화화하고 조롱한 송 대표에게 법안철회와 진심 어린 사과를 요구한다”고 했다.
민주당 내에서도 언론중재법 강행 처리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조응천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언론중재법 개정안의 일부 조항은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언론 보도까지 위축시킬 위험이 분명 존재한다”며 “징벌적 손해액을 규정하는 조항이 모두 피해자 관점에서만 규정하고 있어 언론의 자유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그러면서 “이 법안을 밀어붙인다면 우리가 민주당으로서 지켜왔던 가치가 훼손되는 것이다. 또한, 4·7재보선에서 질타받았던 오만과 독선의 프레임이 부활하는 것”이라며 “옳지도 않고 떳떳하지도 이롭지도 않다”고 강조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