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진행한 아프가니스탄 재건사업에 협력했던 아프간 현지 조력인과 이들의 가족 380여명이 인천공항을 통해 26일 한국에 입국한다고 외교부가 25일 밝혔다.
이들은 주로 현지에서 우리 대사관과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이 운영한 병원, 직업훈련원 등에 고용됐던 사람들이다. 의사, 간호사, IT 전문가, 통역, 직업훈련강사 등으로 탈레반 위협을 우려해 우리 측에 한국행을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427명이 한국행을 신청했지만 최종 입국자는 380여명으로 파악됐다. 일부는 탈레반의 통제로 인해 연락이 두절되거나 출발지인 카불 공항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난민이 아닌 특별공로자 자격으로 들어온다.
정부의 이송 계획에 따라 이들은 우리 군 수송기를 타고 지난 24일 아프간 수도 카불에서 파키스탄 수도 이슬라마바드를 경유해 이날 한국에 도착했다. 코로나19 방역지침에 따라 충북 진천 소재 공무원 인재개발원에 마련된 임시숙소로 이동한 뒤 PCR 검사 등을 받으며 14일간 격리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우선 단기방문(C3) 비자를 발급받아 90일간 국내에 체류할 수 있게 됐다. 향후 장기비자로 일괄 전환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들의 이후 거취 의사를 파악해 한국 정착 또는 제3국행을 지원할 방침이다. 한국 정착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영주권을 주는 방안까지 고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송 계획이 사전에 알려지면 이들이 탈레반의 보복 대상이 될 것을 우려해 우리 정부는 극비에 계획을 추진했다. 최종문 외교부 2차관은 카불이 탈레반에 의해 함락된 지난 15일 정부의 이송 계획을 기자단에 사전 공지했다.
이후 카타르로 옮겨 있던 우리 대사관의 인력 중 4명을 선발대로 지난 22일 아프간에 재투입했고 23일 군 수송기 파견, 24일 본격 수송 작전을 거쳐 26일 한국 이송을 완료할 계획이다.
정부는 국민의 우려를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두고 이들의 신원을 수차례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캐나다 등에서도 현지 조력자의 자국 이송 절차가 진행되는 만큼 인도주의 차원에서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국민의 문제제기에 답하는 건 정부의 몫”이라며 “이들의 인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계속 신원확인을 하는 등 국민이 최대한 안심할 수 있도록 세밀하게 스크린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