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MB시절 국회 사찰보고서 168건 발견…野 “신종 정치 개입”

입력 2021-08-25 00:10
정보위원회 전체회의가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이 출석한 가운데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은 24일 국정원 불법사찰 관련 자체 감찰 결과 18대 국회의원들의 개인 신상과 동향 등을 적은 ‘사찰 보고서’ 168건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이명박 정부 당시 청와대에 보고된 것으로 드러났다.

국정원은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정원 적폐청산 자체 감찰 결과를 공개하고 이 같이 설명했다고 정보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김병기 의원과 국민의힘 간사 하태경 의원이 전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이번 감찰을 통해 발견된 보고서는 총 168건이며 모두 18대 국회의원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18대 국회는 이명박정부 임기에 해당된다

김 의원은 “168건 중 90건은 개인 신상과 의정활동 분석, 특이 언동, 상임위 및 특위 활동 내용에 대한 것”이라며 “불법 비위 내용에 대한 것은 57건”이라며 “금품 수수 의혹과 인사 개입설, 가족 특혜 채용설 등 이었다”고 전했다.

특히 김 의원은 “168건 중 19건은 BH(청와대)에서 특정 사안을 특정해 요청한 것을 국정원이 확인해 보고한 내용”이라며 “주요 내용은 금품수수 입건, 야당 의원 등 특정 정치인의 비리, 야당 의원의 후원금 모집내역 등”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정원이 청와대에 보고한 내용만 168건”이라며 “청와대에 보고하지 않고 국정원장이나 부서장에게 보고한 내용은 물리적으로 유추할 때 훨씬 많았다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 의원도 “168건 중 19건은 청와대가 특별 요청한 것이고 국정원이 자체 조사한 게 149건”이라며 “168건 중에는 비리 정보도 일정 부분 존재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하 의원은 국정원이 시기를 이명박정부 때로 특정해 감찰을 벌인 것을 지적했다.

하 의원은 “국정원이 국회의원을 불법 사찰했다면 전수조사를 해서 결과를 내야지 특정 정권에 한정해 가져왔다. 보수 정당에 대한 공격이라는 맥락이 깔려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야당 간사 입장에서는 그 정보라는 것이 사실 국정원에서는 첩보 수준이고 팩트로 확인되기 전에 떠도는 이야기를 수집한 것인데, 정보위에서 요청도 안 한 내용인데, 그걸 조사해서 보고한 것은 일종의 국정원의 신종 정치 개입”이라고 했다. 이어 “국정원이 대선에 개입하기 위한 불순한 의도로 18대 국회에만 한정해서 정보위에 자료를 가지고 온 거 아니냐는 의심을 사기 충분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여야는 보고서 열람을 두고도 격론을 벌였다. 민주당은 열람을 요청했으나 국민의힘은 거부했다고 간사들은 전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