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24일 국정원 불법사찰 관련 자체 감찰 결과 18대 국회의원들의 개인 신상과 동향 등을 적은 ‘사찰 보고서’ 168건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이명박 정부 당시 청와대에 보고된 것으로 드러났다.
국정원은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정원 적폐청산 자체 감찰 결과를 공개하고 이 같이 설명했다고 정보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김병기 의원과 국민의힘 간사 하태경 의원이 전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이번 감찰을 통해 발견된 보고서는 총 168건이며 모두 18대 국회의원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18대 국회는 이명박정부 임기에 해당된다
김 의원은 “168건 중 90건은 개인 신상과 의정활동 분석, 특이 언동, 상임위 및 특위 활동 내용에 대한 것”이라며 “불법 비위 내용에 대한 것은 57건”이라며 “금품 수수 의혹과 인사 개입설, 가족 특혜 채용설 등 이었다”고 전했다.
특히 김 의원은 “168건 중 19건은 BH(청와대)에서 특정 사안을 특정해 요청한 것을 국정원이 확인해 보고한 내용”이라며 “주요 내용은 금품수수 입건, 야당 의원 등 특정 정치인의 비리, 야당 의원의 후원금 모집내역 등”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정원이 청와대에 보고한 내용만 168건”이라며 “청와대에 보고하지 않고 국정원장이나 부서장에게 보고한 내용은 물리적으로 유추할 때 훨씬 많았다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 의원도 “168건 중 19건은 청와대가 특별 요청한 것이고 국정원이 자체 조사한 게 149건”이라며 “168건 중에는 비리 정보도 일정 부분 존재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하 의원은 국정원이 시기를 이명박정부 때로 특정해 감찰을 벌인 것을 지적했다.
하 의원은 “국정원이 국회의원을 불법 사찰했다면 전수조사를 해서 결과를 내야지 특정 정권에 한정해 가져왔다. 보수 정당에 대한 공격이라는 맥락이 깔려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야당 간사 입장에서는 그 정보라는 것이 사실 국정원에서는 첩보 수준이고 팩트로 확인되기 전에 떠도는 이야기를 수집한 것인데, 정보위에서 요청도 안 한 내용인데, 그걸 조사해서 보고한 것은 일종의 국정원의 신종 정치 개입”이라고 했다. 이어 “국정원이 대선에 개입하기 위한 불순한 의도로 18대 국회에만 한정해서 정보위에 자료를 가지고 온 거 아니냐는 의심을 사기 충분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여야는 보고서 열람을 두고도 격론을 벌였다. 민주당은 열람을 요청했으나 국민의힘은 거부했다고 간사들은 전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