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와의 전쟁’ 충주시 무단 투기 사라졌다

입력 2021-08-24 12:48 수정 2021-08-24 13:39
충북 충주시가 방치된 생활폐기물을 집중 수거하고 있다. 충주시 제공.

쓰레기 무단 투기나 방치 폐기물로 골머리를 앓던 충북 충주시가 쓰레기 공해에서 벗어나 청정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충주시는 지난해 7월부터 현재까지 기업형 폐기물 불법투기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2019년 7월 ‘쓰레기와의 전쟁’을 선포한 후 전 시민 결의대회, 신고자 포상, 불법 투기 감시 요원·감시지원단 배치 등 다양한 대책을 펴고 있다. 337개 마을 주민들이 불법 투기를 감시하는 우리마을 지킴이 제도를 운용 중이다.

우리마을 지킴이는 그동안 23건의 기업형 불법 투기를 적발했다. 마을 사정과 지리를 잘 알고 있는 주민들은 수상한 차량이나 공장 창고, 나대지 등에 폐기물을 대량으로 몰래 버리는 행위를 신고하는 등 불법 투기 세력이 지역에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시골 노인 등에게 접근해 건축자재를 쌓아 놓겠다며 일정 기간 땅을 임차한 뒤 단기간에 폐기물을 불법 투기하고 잠적하는 것이 기업형 불법투기의 대표 유형이다.

시는 기업형 폐기물 불법투기가 근절되자 이번에는 방치된 생활폐기물을 집중 수거했다. 마을 곳곳에 버려지거나 방치된 생활폐기물 집중수거로 시민들의 호평도 받고 있다.

시는 지난 4월부터 폐기물 불법투기 감시단의 현장점검을 통해 하천 주변, 나대지 등에 수년간 방치된 생활폐기물 2904t을 찾아냈다. 시는 2차 환경오염 및 자연경관 훼손을 막기 위해 먼저 사유지에 방치된 폐기물 298건 1924t을 행위자 또는 토지 소유주에게 적정 처리하도록 명령했다.

공유지 방치폐기물은 3억원 예산을 들여 위탁처리업체를 통해 지금까지 108곳에 있던 813t을 수거했다. 다음 달까지 980t을 처리할 계획이다.

산척면 용암마을에서는 고물 수거업을 하던 주민 A씨가 건강악화 등으로 모아둔 30여t의 폐기물이 방치되면서 심한 악취를 유발했다. 불편을 겪던 주민들은 시에 폐기물 수거를 요청했고, 시는 A씨의 경제적 사정을 고려해 시비로 적정 처리했다.

시 관계자는 “지역 내 쓰레기 불법투기를 막기 위해 우리마을지킴이, 드론감시단, 불법투기 암행감시단 활동을 강화해 깨끗하고 쾌적한 충주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충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