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태화강과 영남알프스를 중심으로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생물권보전지역’은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과 함께 유네스코가 주관하는 3대 국제보호지역 중의 하나이며,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위해서는 타당성 조사,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 예비신청서(국문) 제출, 본신청서(국.영문) 제출, 소위원회 및 국제자문위원회 심사, 엠에이비(MAB)국제조정이사회 심의, 유엔(UN)사무총장의 지정 통보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해당 지역은 법으로 보호받는 지역(보전), 인근에 휴양이나 생태관광이 가능한 지역(지원), 인근에 주거나 생산이 가능한 지역 등 조건을 갖춰야 한다.
또, 공공기관과 지역공동체, 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조직과 체계를 갖춰야 한다.
유네스코는 주민이 자연과 상생하며, 자연 보호에 따른 경제활동으로 이익을 창출하는 지속가능성 여부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시는 밝혔다.
통상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까지 5년 이상 걸린다. 울산은 국토 환경성 평가 1등급 비율이 전국 2위(43.6%)다.
또 지난 5월 태화강 등이 국제철새 이동 경로 네트워크 서식지에 등재되었으며, 생물권 보호를 위한 법적 근거(습지보호지역, 자연공원 등)가 충분히 마련돼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주민이나 인근 지자체와 이해관계를 풀어갈 해법이 사업 추진 관건으로 꼽힌다.
생물권보전지역은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과 함께 유네스코가 주관하는 3대 국제보호지역 중 하나이며,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1976년 생물권보전지역 57곳을 처음으로 40여 년이 지난 현재 129개국 714곳이 지정돼 있다.
한반도에는 설악산, 제주도, 고창, 순천, 백두산, 금강산 등 13곳이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태화강, 영남알프스 등 우리 시의 주요 생태자원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면 국제적 위상 제고는 물론 지속가능한 성장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세계문화유산, 세계지질공원 등 유네스코의 타 인증 프로그램 추진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 태화강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추진
입력 2021-08-23 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