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지사가 조건부 제재완화(스냅백)와 단계적 동시행동을 통해 북핵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대북정책 구상을 밝혔다. ‘화재 중 먹방’ 논란에 공식사과하며 ‘황교익 사태’를 매듭짓고 정책공약으로 국면을 전환하려는 모양새다.
이 지사는 22일 서울 동교동 김대중 전 대통령 사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환 시대의 통일외교 구상’을 발표했다. 그는 대북정책의 핵심인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스냅백을 꺼내들었다.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상응하는 대북제재 완화조치를 동시에 실행하되, 북한의 약속 미이행시 제재를 즉각 복원해 비핵화 조치를 유도한다는 전략이다. 북핵문제를 일시에 타결하는 ‘빅딜’ 방식은 성공 가능성이 낮다는 게 이 지사의 생각이다.
남북 협력사업에 있어서는 ‘실용성’을 강조했다. 이 지사는 “국민은 북한과의 경제협력·교류·인도적 지원은 지지하지만 북한의 호응조차 없는 일방적 정책은 찬성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개성공단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을 예로 들며 “북한이 잘못하면 잘못한다고 분명히 우리의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지사는 문재인정부의 ‘한반도 운전자론’은 계승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미국과 북한 사이에서)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중재자 및 해결사 역할을 하겠다”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직접 만나 문제를 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지사는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쿠팡 이천물류센터 화재 당시 황교익씨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한 데 대해 공식 사과했다. 그는 “저의 판단과 행동이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했음을 인정하고 사과드린다”고 했다. 황씨 경기관광공사 사장 내정에서 촉발된 사태가 더 확산되는 것을 막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