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남북 이산가족 화상상봉장 7곳을 증설하는 작업을 이달 중 완료한다. 이로써 전국 화상상봉장은 총 20곳으로 확대된다. 하지만 남북 관계 경색으로 이번 추석 상봉은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차덕철 통일부 부대변인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이산가족 화상상봉장 7곳에 대한 증설 공사가 마무리됐으며, 현재 검수 작업 중”이라며 “증설 공사는 8월 중으로 완료될 것”이라고 밝혔다.
차 부대변인은 “이산가족들의 급속한 고령화 추세 그리고 이산가족들의 접근성 제고를 위한 지역별 설치 필요성, 코로나19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했을 때 남북 간 비대면 방식의 이산가족 교류로써 화상상봉 인프라 확충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남북관계는 연락통신선 복구로 화해무드에 진입했다가 최근 한·미 연합훈련을 기점으로 다시 냉각기에 들어섰다. 정부는 이산가족 교류 및 상봉은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정치·군사적 상황과 별개로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이산가족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은 지난 2018년 9월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남북 간 합의한 바 있어 중요성이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통일부는 ‘상봉장 추가 건설이 혈세 낭비’라는 지적에 대해선 “향후 남북관계 복원 시 언제라도 즉시 시행될 수 있도록 사전에 화상상봉장 증설을 추진하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보유 장비를 활용해 예산절감에도 신경을 썼다는 게 통일부 입장이다.
그럼에도 다음 달 추석을 계기로 한 이산가족 화상상봉 가능성은 현재로썬 크지 않아 보인다. 북한은 이날 오전 9시에도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채널을 통한 우리 측의 정기통화 시도에도 응답하지 않았다.
시간적으로도 남북 간 합의, 이산가족 생사 확인 등 화상상봉 준비에 약 1~2개월이 소요되는 만큼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추석엔 상봉이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차 부대변인은 “추석 계기 이산가족 화산상봉 개최와 관련해서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이산가족 연령이 고령화됨에 따라 상봉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6월 전국 7곳에 화상상봉장을 추가 증설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남북협력기금 11억8000만원을 투입하고 증설공사에 착수했다. 이번에 화상상봉장이 증설된 지역은 경기 의정부, 강원 강릉·원주, 충북 청주, 충남 홍성, 경북 안동, 전북 전주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