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 우려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불안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19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6.57포인트(0.19%) 하락한 34,894.12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53포인트(0.13%) 오른 4,405.80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5.87포인트(0.11%) 상승한 14,541.79를 나타냈다.
뉴욕증시에서 주요 주가지수는 최근까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3거래일간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기업 실적이 호조를 보였음에도 미 연준의 테이퍼링 전망과 델타 변이 확산에 시선이 집중되면서 증시가 조정을 받는 양상이다.
이날 투자자들은 기업실적, 코로나19 확산, 경제지표, 연준 자산매입 축소 시기 등에 주목했다.
미국 대표 백화점인 메이시스는 2분기에 월가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메이시스는 지난 7월 31일로 끝난 2분기에 매출 56억5000만달러, 조정 주당순이익(EPS) 1.29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메이시스의 주가는 이날 20% 가까이 급등했다.
기업실적 호조에도 전일 공개된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7월 회의 의사록의 여파는 여전히 증시에 남아있다.
미 연준이 올해 자산매입 축소에 나서기 위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만큼 시장 변동성을 키울 수 있는 요인으로 꼽혔다. 시장 참가자들은 미 연준이 8월 26일부터 열리는 잭슨홀 심포지엄 또는 9월 FOMC 회의에서 테이퍼링에 대한 추가 시그널을 내놓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약간의 온도차를 보였다. 실업보험 청구건수는 팬데믹 이후 최저 수준(34만8000명)을 기록하면서 고용시장 회복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던 지난해 3월 14일 이후 가장 적은 수준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36만5000명도 밑돌았다.
하지만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관할지역 제조업 활동을 보여주는 필라델피아연은 지수는 4개월 연속 하락했다. 8월 필라델피아연은 지수는 전월 21.9에서 19.4로 하락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인 22를 밑돌았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