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지난 8년간 지원한 서울시민 4만2147명을 지원하고, 이중 8272명이 개인파산 및 회생 등 공적채무조정을 통해 악성부채 2조837억원을 법률적으로 면책받았다고 19일 밝혔다.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빚으로 고통받는 시민에게 재무상담 및 금융교육, 공적채무조정(개인파산 및 개인회생), 재기지원을 위한 주거·일자리 복지서비스 등을 연계해 종합지원하는 기관이다. 2013년 7월 6개 지역센터로 개소해 현재 1개 중앙센터와 14개 지역센터로 확대 운영 중이다.
특히 지난해는 코로나19 여파로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중산층도 급격한 경제위기에 처하면서 상담문의가 증가했다. 지난해 공적채무조정으로 지원받은 시민은 1317명으로 전년(1141명) 대비 15% 증가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로 올해도 7월 현재까지 807명이 공적채무조정 지원을 받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개인파산의 경우 2017년부터 매년 서울회생법원에 접수되는 연간 개인파산 사건의 10건 중 1건 이상을 센터가 지원해 채무조정을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는 개소 8주년을 맞아 센터 지원으로 법원 면책결정을 받은 시민 40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복수응답)도 공개했다. 응답자 70%는 가계 빚 때문에 가장 힘든 점으로 ‘채무추심, 독촉으로 인한 불안과 공포’를 꼽았고, ‘자존감 하락 또는 우울증 등 무기력 상태 지속’(45%) ‘실업·폐업·금융거래제한 등 경제활동의 어려움’(42%) 순이었다. 빚으로 인해 ‘극단적 선택’을 생각해봤다고 응답한 시민도 61%(246명)로 3명 중 2명 꼴이었다.
‘가계 빚 해결로 나아진 점’으로는 응답자 76%(305명)가 ‘채권추심 압박 해소’를 꼽았고, ‘심리정서안정’(63%), ‘경제활동 가능성 회복’(29%), 가족관계·사회적 관계 회복(24%)가 뒤를 이었다.
박정만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장은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지난 8년간 악성부채로 고통받는 서울시민의 재기를 지원하고 있다”며 “가계부채로 고민하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각 지역의 금융복지센터에 연락해 상담과 지원을 받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