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직원 10명 중 4명은 기간을 정해두고 일하는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1년도 고용 형태 공시 현황’에 따르면 올 3월 말 기준 1000인 이상 대기업의 전체 근로자는 343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고용 형태 공시는 상시 근로자 300인 이상을 고용한 기업이 사용 중인 근로자 수를 고용 형태별로 공개하는 제도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고용 구조를 개선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2014년부터 시행 중이다.
1000인 이상 대기업 근로자 중 비정규직은 129만6000명으로 전체의 39.7%를 차지했다. 이는 300인 이상 기업의 비정규직 비중(37.9%)보다 1.8%포인트 높은 수치다. 기업 규모가 클수록 비정규직이 많다는 의미다. 1000인 이상 대기업 1504개 사업장 중 파견·용역 근로자를 의미하는 ‘소속 외 근로자’는 예술·스포츠업(73.3%), 건설업(56.0%)에서 비중이 높았다. 또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은 업종은 부동산업(61.7%), 건설업(55.6%) 순이었다.
300인 이상 기업의 단시간 기간제 근로자는 16만1000명으로 전년 대비 1만3000명 증가했다. 기간제 근로자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사람을 뜻하는데, 이 중에서도 주당 노동시간이 40시간에 못 미치면 단시간 기간제 근로자로 분류한다. 고용부는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병원과 사회복지시설 등을 중심으로 의료·간병 인력 등 단시간 기간제가 소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김유진 고용부 노동시장정책관은 “고용형태 공시제를 통해 기업이 자율적으로 고용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분위기를 확산하고, 고용구조 개선실적이 탁월한 기업에 대해 정부포상 등 혜택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