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후 첫 기자회견을 열고 ‘변화’를 천명했다.
17일(현지시간) AP·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탈레반 대변인인 자비훌라 무자히드는 이날 수도 카불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아프간 전쟁은 종료됐다고 선언했다.
무자히드 대변인은 “사면령이 선포된 만큼 이전 정부나 외국 군대와 함께 일했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복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탈레반은 이슬람법의 틀 안에서 여성의 권리를 존중할 것”이라면서 여성의 취업과 교육도 허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탈레반 대변인은 의복 규율과 사회 활동 등 어느 정도 수준에서 여성 권리가 존중될 것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무자히드 대변인은 “아프간 내 민간 언론 활동도 독립적으로 이뤄지기를 원한다”고 했다. 단 “기자들은 국가의 가치에 반해서는 안 된다”며 통제의 여지를 남겼다.
무자히드 대변인이 공식 석상에서 얼굴을 공개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외신은 전했다.
이번 기자회견에는 탈레반이 과거 집권기처럼 국제사회로부터 따돌림당하지 않고 정상적인 국가로 인정받으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1996∼2001년 집권한 탈레반 정권은 이슬람 샤리아법(종교법)을 앞세워 엄격하게 사회를 통제했다. 춤, 음악, TV 등 오락이 금지됐고 도둑의 손을 자르거나 불륜을 저지른 여성을 돌로 쳐 죽게 하는 벌도 허용됐다. 특히 여성은 취업 및 각종 사회 활동이 제약됐고 교육 기회가 박탈됐다. 외출할 때는 부르카(얼굴까지 검은 천으로 가리는 복장)까지 착용해야 했다.
탈레반의 변화 예고에도 여성의 얼굴이나 모발을 가리는 히잡 등의 착용은 의무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카타르 도하 소재 탈레반 정치국 대변인 수하일 샤힌은 이날 외신과 인터뷰에서 “부르카만이 히잡은 아니다. 세상에는 다양한 형태의 히잡이 있다”고 밝혔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