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코로나19 긴급사태 발령 지역을 대폭 확대하고 기한도 다음 달 중순까지 연장한다. 긴급사태 발효에도 불구하고 연일 신규 확진자 수가 폭증하는 데 따른 조치다.
스가 요시히데 총리는 17일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도쿄, 오사카, 사이타마, 지바, 가나가와, 오키나와 등 6개 광역지역에 이달 말까지 시한으로 선포된 긴급사태를 내달 12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또 현재 긴급사태에 준하는 ‘만연방지 등 중점조치’(이하 중점조치)가 적용되는 시즈오카, 이바라키, 도치기, 군마, 교토, 효고, 후쿠오카 등 7개 지역에는 오는 20일부터 내달 12일까지 긴급사태에 따른 방역대책을 새롭게 적용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홋카이도 등 6개 지역의 중점조치를 이달 말에서 내달 12일까지 연장하고, 신규 감염자가 급증하는 미야기 등 10개 지역을 중점조치 대상에 추가했다.
이로써 긴급사태 발령 지역은 6곳에서 13개 지역으로, 중점조치 적용은 13곳에서 16개 지역으로 늘게 됐다.
일본의 47개 도도부현 가운데 약 60%인 29곳이 코로나19 확산 억제를 위한 특별대책 구역으로 지정되는 셈이다.
일본의 코로나19 확산세는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도쿄의 신규 확진자는 4차 긴급사태가 발효한 당일(월요일) 502명이던 것이 같은 요일인 이달 16일에는 2962명으로 한 달여 만에 6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특히 도쿄올림픽(7.23~8.8) 기간에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코로나19 정책을 담당하는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재생상은 17일 “연일 극히 높은 수준으로, 말 그대로 현격히 감염이 확산하고 있다”며 “의료제공 체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오는 24일 막을 올리는 도쿄패럴림픽도 무관중 경기로 열리게 됐다. 앞선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모든 경기장에서 일반 관중을 받지 않고 지자체와 학교가 원할 경우 학생들만 제한적으로 입장을 허용한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