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洑 개방 이후 전기료 폭탄? 환경부 “사실무근”

입력 2021-08-17 15:18
정의석 환경부 4대강조사평가단 개방팀장이 17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공주보 지하수 개체관정 물 부족 및 전기료 조사 결과'와 관련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

4대강 금강 공주보(洑) 개방 이후 강 수위가 낮아지면서 펌프로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시간이 길어져 전기료가 급등했다는 지역 농민들의 주장에 정부가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환경부는 17일 금강 공주보 상류에 설치한 지하수 대체관정 27공에 대한 사용 현장과 전기료 부과 내역을 조사한 결과 대체관정으로 인한 전기료 급증이나 물 부족 사례는 없었다고 밝혔다. 관정은 지하수를 이용하기 위해 만든 대롱 모양의 우물이다.

환경부는 2019년 5월 공주보를 개방하면서 지하수 이용 불편이 우려되는 공주시 쌍신동과 신관동 일부 지역에 기존보다 큰 대체관정 27공을 설치했다. 이후 지역 주민들은 소형관정을 이용했을 때보다 펌프 가동시간이 늘어 전기료가 10배 이상 급증하고 지하수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 물 부족 현상을 겪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환경부는 개인정보 이용 동의를 얻은 대체 관정 22공에 대한 전기료 부과 내역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연간 전기료 총액은 매년 500만원 전후로 뚜렷한 급증 추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2공의 2018년 전기료 총액은 약 491만원으로 2019년(약 508만원)에는 소폭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전기료 총액이 약 453만원으로 집계돼 2018년보다 오히려 7.7% 감소했다.

환경부는 일부 관정에서 지난해 전기료가 2019년 대비 2배 이상 급증한 것을 확인했지만 대체 관정 때문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벼농사 기간(최대 6개월) 내내 관정 전기모터를 쉬지 않고 가동해도 얻을 수 없는 전기료가 나왔다”며 “한국전력과 전기안전공사는 전력계 고장, 누전, 다른 용도 사용 등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22공 양수량 조사 결과 지하수 사용에도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덧붙였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