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을 1시간대 생활권으로 묶는 광역철도가 만들어져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이 앞당겨질 전망이다.
울산시는 부울경 메가시티 ‘광역교통망’ 구축을 위한 핵심사업인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가 국토교통부의 비수도권 광역철도 선도사업에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국토부는 이날 오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5개 광역철도 사업을 국토교통부 선도사업으로 확정 발표했다.
비수도권 광역철도 선도사업은 지난 7월 국토부가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한 11개의 노선 중 국가균형발전,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및 기존 사업과의 연계성이 우수한 노선을 선정해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는 총 사업비 1조 631억원이 투입돼 총 연장 50㎞(울산역~울산 무거~양산 웅상~부산노포) 규모로 오는 2029년 완료될 예정이다.
이 노선은 부산 도시철도 1호선・정관선, 양산 도시철도, 울산 도시철도 1호선, 경부고속철도 울산역 등 각 시・도의 도시철도와 주요 거점을 연결한다.
이번에 선정된 선도사업은 국토부가 내년까지 사전타당성조사와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 등 후속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함으로써 다른 사업에 비해 2~3년 정도 빠르게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부울경은 비수도권 지역에서 가장 많은 800만명이 거주하고 있지만 지역 간 이동을 위한 광역철도는 전무했다.
이들 지역간 통행량은 연평균 2.8%(2010년~2018년)씩 증가하고 있고 교통혼잡 사회적 비용도 9.7조 원(2018년 기준)으로 비수도권 중 최고이다.
사업이 완공되면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된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와 현재 공사 중인 ‘도시철도 양산선’과 연계된 순환철도망이 형성된다.
부산~울산 간 통행 시간은 기존 72분에서 60분으로 단축돼 부·울·경을 1시간 생활권으로 묶을 수 있는 실질적인 광역교통망이 구축될 전망이다.
또한 고용창출효과 7800명, 생산유발효과는 1조 9000억원에 달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국가의 미래를 위한 균형발전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과제로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가 부・울・경 메가시티의 초석을 다지고 동남권이 대한민국 전체의 균형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로 부울경 1시간 생활권
입력 2021-08-17 1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