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검사와 예방접종 일선에 있는 보건소 인력 3명 중 1명이 우울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1년7개월이 넘어가는 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 과다한 업무량 증가와 민원 등이 스트레스 원인으로 꼽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7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이런 내용의 ‘보건소 인력 정신건강 조사 결과 및 지원방안’을 보고받았다.
6월 23일부터 7월 9일까지 확진자가 많은 전국 17개 보건소 직원 176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우울 위험군은 33.4%였다. 이는 일반 국민 대상 조사 결과 18.1%보다 2배 가까이 높은 비율이다.
지난해 6월 울산대병원 406명과 8월 공보의 350명 등을 대상으로 했을 때 우울 위험군이 14.3%, 15.1%였던 것과 비교해도 높은 수치다. 복지부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우울 위험군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극단적인 선택 생각 비율은 19.9%로 6월 일반 국민 조사 결과 12.4%보다 7.5% 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불안 위험군은 27.6%로 일반국민(12.2%)보다 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에 참여한 보건소 직원 중 91.1%가 삶의 질이 떨어졌다고 답했다. 신체건강은 76.4%, 정신건강은 81.1%가 나빠졌다고 응답했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수면장애(134→165명), 우울증(105→118명) 등으로 인한 정신건강 의료 이용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업무에 대한 유능감과 자부심을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65.1%로 ‘그렇다’(34.9%)라고 답한 비율보다 배 가까이 높았다.
업무에 대한 스트레스 원인(총 3점)은 업무량 증가·과다(1.62점)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민원(1.57점)으로 인한 것이었다. 현재 필요한 서비스(총 5점)는 휴가(4.03점), 인력 충원(4.02점), 수당 등 경제적 지원(3.95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인력 확충 방안으로 보건소당 평균 9명을 한시 인력으로 지원한다. 이달에는 보건소 조직·인력 전수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행정안전부 2022년도 기준인력 결정 시 보건소의 인력 증원이 추진될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수당 추가 지원과 보건소 업무 경감을 위한 방안도 추진한다.
업무량 경감을 위해 관련부처에 각종 자료 요구 및 평가를 중단하거나 연기하도록 요청해, 보건소의 업무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복지부는 전했다.
아울러 보건소 인력 심리지원을 위해 고위험군에 대해 민간전문가 심층상담, 마음건강 주치의 등을 지원한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