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호 부산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전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사진)는 코로나19 4차 유행과 관련해 “여름철 찾아온 4차 유행은 예상 밖이었다”고 밝혔다. 또 델타형(인도) 변이 전파는 방역 당국 예상보다 빨랐던 반면 예방접종률은 기대에 다소 못 미쳤다고 했다. 코로나19가 국내에서 발생한 지난해 1월부터 지난 6월 퇴임 때까지 1년 5개월간 방역 최전선에 섰던 윤 교수를 16일 전화로 인터뷰했다.
윤 교수는 중수본에 있을 당시를 회상하며 “4차 유행이 8월에 올 거라고 예상하진 못했다”며 “원래 예상한 4차 유행 시기는 3월 말, 4월 초쯤이었다”고 밝혔다. 3월 말 4월 초를 4차 유행 시점으로 예상한 이유에 대해선 “예방접종이 시작되면서 심리적 방심이 작용할 거란 예측이었다”고 설명했다.
4차 유행 확산을 저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에 대해서는 먼저 예방접종 속도가 늦은 점을 꼽았다. 윤 교수는 “예방접종 속도가 예상보다 더딘 측면이 있었다”며 “1월에 예상하기론 8월쯤 접종완료율이 20% 이상이 될 것이라 기대했는데 약간 못 미치게 됐다”고 했다.
반면 델타형 변이 확산은 예상보다 빨랐다. 그가 방역 일선에 있던 때만 해도 델타형 변이는 주요 변이 사례의 10%가 채 안 됐다. 그는 “(4월 첫 델타형 변이 국내감염 발생 후) 이렇게 급격하게 진행될 거라곤 예측하지 못했다”고 떠올렸다. 다만 그는 “델타형 변이가 우세해지면서 예방접종률이 높은 국가도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방역 정책으로) 어느 정도 (환자 수 증가를) 억제해왔다”고 부연했다.
코로나19와 함께하는 일상(위드 코로나)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건 환자치료 방식의 전환이라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우리처럼 원칙적으로 모든 환자를 입원 치료하는 국가는 드물다”며 “코로나와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가장 변화가 필요한 건 치료방식”이라고 지적했다. 모든 환자를 시설·병원에서 치료하는 방식은 의료체계에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윤 교수는 “아직 자가치료는 방치라고 여기는 분위기가 커서 섣불리 전면 도입하지 못했다”며 “예방접종률이 올라가면 위중증으로 악화될 위험도 감소하므로 기본적으로 자택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4차 유행 이후 코로나19 대응전략에 대해선 지금부터 사회적인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봤다. 그는 “3차 유행 당시 정부는 이미 내부적으로 장기적인 대응전략을 정리했다”며 “그때도 병원 입원치료 중심에서 일상적인 의료대응체계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말했다.
중증환자 범위를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밝혔다. 그는 “외국은 인공호흡기 치료 이상의 환자를 위중증환자로 보는데 우리나라는 고유량산소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도 위중증으로 본다”며 “고유량산소요법은 중환자 병상이 아닌 준중환자 병상에서도 치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치료가 이뤄지도록 정리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인구 70% 이상이 백신을 맞는 ‘집단면역’에 대해서는 코로나19를 ‘제로’가 아니라 ‘최소화’한다는 접근 방식이면 가능하다고 했다. 독감의 경우 유행 차단이 아니라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전략으로 대응한다. 독감의 예방접종률은 평균 40~50%다. 윤 교수는 “전파를 완전히 차단한다는 게 아니라 집단적인 유행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는다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