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주자 유승민 전 의원이 15일 디지털혁신인재 100만명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미래 먹거리 분야 인재를 집중적으로 키워 4차 산업혁명의 주도권을 쥐겠다는 것이다. 또 사회서비스 일자리 100만개 창출도 공약하며 복지와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겠다는 포부도 드러냈다.
유 전 의원은 이날 유튜브 채널 ‘유승민TV’를 통해 ‘100+100 일자리 공약’을 발표했다. 인공지능(AI)·빅데이터·컴퓨팅·도메인 놀리지 분야 인재 100만명을 육성하고 보육·간병 관련 일자리 10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우선 유 전 의원은 “4차 산업 기술 전쟁은 우리에게 선택을 강요하고 있다. 이 경쟁에서 뒤처지면 한국 경제는 세계 1등 기업들의 하청 기지로 전락할 것”이라며 디지털혁신인재 육성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를 위해 대학교육부터 개혁하겠다는 계획이다.
유 전 의원은 “미국 스탠포드대 컴퓨터학과 정원은 2008년 141명에서 2019년 700명으로 늘어났지만, 서울대는 15년째 55명었다가 지난해 겨우 70명이 됐다”며 “이 칸막이를 허물어야 디지털혁신인재 양성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 과목을 전국의 대학과 전문대가 교양필수로 이수하도록 하고, 첨단 기술과 기존 분야의 융합전공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혁신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입시 제도도 손봐야 한다는 게 유 전 의원 생각이다. 유 전 의원은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컴퓨터 탐구’를 신설하고, 2028년 대입 수시 전형에 ‘디지털 인재 전형’을 신설하겠다고 약속했다. SW마이스터고를 AI·빅데이터 전문고로 육성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유 전 의원은 “공무원 일자리만 늘어나는 나라에는 미래가 없다”고 문재인정부를 정조준하며 “산업 기술 경쟁에서 이기면 우리에게는 경제 성장과 ‘좋은 일자리’라는 길이 열릴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통 큰 정부 지원 등으로 해외에 있는 인재를 국내로 불러들여 4차 산업혁명 주도권을 잡겠다고도 다짐했다. 유 전 의원은 “중국의 ‘천인계획’처럼 세계 정상급 인재들을 유치하겠다”며 “유치에 방해가 되는 교육부와 대학의 규제는 폐지하고 정부 지원은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임기 동안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정책도 강력히 추진해 경제 발전을 모색하겠다는 구상이다.
사회서비스 일자리 100만개를 창출해 복지와 성장을 다 잡겠다는 계획이다.
유 전 의원은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 간병인 등을 ‘기술혁명 시대에도 반드시 필요한 일자리’로 규정하며 “반듯한 사회서비스 일자리 100만개를 만들어 성장과 복지가 함께 가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유 전 의원은 “인구 1000명당 보건·사회서비스 취업자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평균이 70.4명인 반면 우리나라는 42.7명으로 28명 가까운 차이가 있다”며 “이 차이를 일자리 수로 환산하면 140만명인데, 3분의 2에 해당하는 100만개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역할이 비대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기술혁명 시대에도 사람이 필요한 분야에는 사람을 늘리자는 생각”이라며 “이에 필요한 국가의 역할을 부정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문재인정부 단기 세금 아르바이트나 이재명 경기지사의 월 8만원 현금살포가 아닌 복지와 고용을 동시에 개선하는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확충하겠다”고 강조했다.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는 반도체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구상도 밝혔다. 정부가 50조원을 선출자하고 반도체 기업들이 공동출자로 참여하는 민관협동 반도체기금 ‘코마테크펀드’를 신설하고 영호남을 아우르는 남부경제권에 반도체 미래도시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유 전 의원은 “비메모리 분야 선도국인 미국과 대만을 따라잡고 메모리 분야에선 중국의 추격을 뿌리치겠다”며 “정부는 반도체 기업들의 연구와 개발은 지원하되 경영은 철저히 민간이 주도하도록 자율성을 부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