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와 전남 5개 시·군이 가칭 ‘아리 빛고을촌’ 메가시티 출범을 추진한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우선 광주권 공약 발굴부터 출발해 6개 지자체를 아우른 ‘특별지자체’로 거듭나는 게 최종 목표다.
광주시는 “내년 3월 치러질 20대 대선에서 각 후보에게 광주권 지역발전 공약을 제안하기 위해 최근 6개 지자체가 머리를 맞댄 실무협의회를 처음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회의에는 문영훈 광주시 기획조정실장 주재로 5개 시·군 기획실장·팀장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회의에서 고속도로, 순환도로, 광역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을 서둘러 확충하고 효율적 관광·산업 육성을 통해 주민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 의기투합하기로 했다.
‘인공지능 중심도시’를 추구하는 광주와 함평 접경구역인 빛고을산단을 자동차 전용 산단으로 활성화하고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인 나주 빛가람도시를 에너지 밸리로 조성하는 방안 등이다.
장기적으로 광주와 인접 시·군이 스마트 광역생활권 통합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현재 173만 명 수준인 6개 지자체 인구를 200만 명까지 늘리기로 했다. 넓다는 의미의 ‘아리’와 광주를 일컫는 빛고을의 합성어인 ‘아리 빛고을촌’이 예정대로 출범하면 30분 이내 왕래가 가능해 ‘단일 생활권’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각 지자체 경계를 벗어나 의료·교육·관광·문화예술·스포츠 레저 기능 등을 공유하고 향후 다양한 복지시설을 함께 운영할 수 있도록 행정체계를 개편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특별지자체 형식의 메가시티에서 수려한 자연·문화 환경을 가진 주거공간과 일터를 제공하면 과밀화된 수도권에서 사람은 물론 기업들이 내려와 삶과 비즈니스를 꾸려나갈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참석자들은 토지, 산림, 세제 분야 등의 규제혁신을 각 정당의 대선 주자들이 공약에 반영하도록 적극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단기적 공동협력사업 발굴 차원에서 이달 말 6개 지자체 2차 실무협의회를 갖고 올해 안으로 광주와 인접 시·군 단체장 6명이 참여하는 행정협의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대선 공약사업 최종 확정과 함께 구체적 메가시티 추진일정과 방향을 논의한다. 광역시와 인접 5개 시·군이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메가시티로 통합된다면 전국 최초의 사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이용섭 광주시장은 지난해 9월 “광주·전남은 천년을 함께해온 공동 운명체로 치열하게 경쟁하면 공멸한다”며 전남도에 행정구역 통합을 제안한 바 있다. 전남도 역시 ‘공감대 형성과 의견수렴 선행’을 전제로 원칙적으로 찬성했으나 통합논의는 여러 사정으로 지지부진하다.
광주시 문용훈 기획실장은 “스마트 메가시티 빛고을촌에서 200만 명이 행복한 삶을 꾸릴 수 있도록 인근 시·군과 협력해 합리적 통합서비스 체계를 구축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