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를 품고 있는 전북지역의 바닷가 면적은 3.06㎢에 이른다. 전국 바닷가 면적(17.65㎢)의 17.3%로 전남(8.89㎢)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면적을 보유하고 있다. 또 전북도의 어촌체험 마을 이용객 비율은 전국에서 4번째(12.1%)로 많다. 그러나 해양 연안 11개 지역 중 유일하게 전북에는 해양문화시설이 없다.
바다해양자원이 풍부한 전북에 국립해양문화시설을 건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북연구원(원장 권혁남)은 10일 발간한 이슈브리핑 ‘바다해양자원이 풍부한 전북, 국립해양문화시설 건립이 필요하다(통권 246호)’에서 이같은 의견을 내놨다.
국립해양문화시설은 국립해양과학관,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등대박물관, 국립해양유물전시관 등을 의미한다.
전북연구원에 따르면 전북의 해안선은 548.5㎞에 이른다. 우리나라 전체 해안선(1만4962.8㎞)의 3.7%를 차지하고 있다. 전북은 역사적으로 중요 어장을 보유하여 어업 경제와 해양 문화 생활권을 형성해 왔다.
하지만 그럼에도 전북에는 해양문화시설이 하나도 없다.
2013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자료에 따르면 해양문화시설은 전남지역에 27.8%, 서울‧인천‧경기 16.3%, 경남과 부산에 각각 11.6%가 몰려 있다. 또 경북과 제주에 각각 9.3%, 울산과 강원에도 4.7%씩이 자리 잡고 있다.
이와 관련 해양수산부는 최근 ‘국립인천박물관’ 건립과 내륙권인 청주에 ‘미래해양박물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전북연구원은 전북에 4차 산업과 해양에너지 등을 연계한 국립해양과학관, 국립해양근대유산 박물관, 국립미래해양교통과학관(또는 박물관) 등의 건립을 제안했다.
전북연구원 이동기 선임연구위원은 “전북은 해양자원 여건과 자원이 우수하고 미래 해양문화 관광의 성장 가능성이 큰 지역임에도 해양 문화 향유의 기회가 매우 적었다”며 “이를 개선하고 균형발전 차원에서 전북에 국립해양문화시설이 반드시 건립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