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올해 상반기(1∼6월) 아파트를 제외한 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 4가구 가운데 1가구는 30대 이하가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플랫폼 다방은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 월별 매입자 연령대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매매된 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 4만3444가구 중 20, 30대가 1만678가구를 사 전체의 24.6%를 차지했다고 10일 밝혔다.
20대 이하는 3274가구, 30대는 7404가구를 사들였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19.5%)보다 5.1% 포인트, 하반기(23.2%)보다 1.4%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20대 이하와 30대의 매수 비중은 각각 2.0% 포인트, 3.1% 포인트 상승했으나 40대와 50대의 비중은 각각 0.3% 포인트, 2.1% 포인트 줄었다.
30대 이하의 비(非)아파트 매수 비중이 가장 큰 지역은 마포구(35.4%)였으며 용산구(34.2%) 양천구(31.9%) 성동구(29.6%) 강서구(29.0%) 서초구(28.5%) 등이 뒤를 이었다.
다방 측은 “서울 아파트 매매가·전셋값 급등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20, 30대 주택 수요자들이 빌라 등의 대체 주거상품을 매수한 것으로 보인다”며 “아파트보다 상품경쟁력은 약해도 입지경쟁력을 갖춘 도심 인근 지역 비아파트에 관심이 쏠렸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지난해 상반기 4만8298건을 기록했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2만9399건으로 39.1% 줄었다.
반면 비아파트 매매는 같은 기간 4만682건에서 4만3444건으로 6.8% 증가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