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들이 네거티브 중단을 한목소리로 외치고 휴전에 돌입했지만, 여전히 살얼음판을 걷는 듯한 긴장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당내 경선에서 1위 자리를 탈환해야 하는 이낙연 전 대표와 중위권으로 치고 올라가야 하는 김두관 의원은 공격적인 스탠스를 유지하고 있다.
이 전 대표의 타깃은 이재명 경기지사다. 이 전 대표는 휴전 선언 후 첫날인 9일에도 이 지사를 향한 공세를 멈추지 않았다. 이 전 대표는 TBS라디오에 출연해 “지사직 사퇴 자체가 개인의 양심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이 지사 캠프가) 도청 캠프라는 용어를 많이 쓰고 있다”면서 “그런 이야기는 안듣게 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또 “이 지사가 기본소득 홍보에 34억원을 썼는데 그런 일이 계속 생긴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이 지사가 지사직을 대선에 활용하고 있다는 이른바 ‘지사 찬스 논란’을 거듭 제기한 것이다.
후발주자인 김두관 의원의 표적은 이 전 대표다. 그는 이 지사가 본선 후보가 될 경우 ‘원팀을 장담할 수 없다’고 언급한 이낙연캠프 설훈 의원을 향해 “입에 올려서는 안 될 말”이라며 캠프 차원의 조치를 요구했다.
그는 페이스북을 통해 “네거티브 중단 선언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경선 결과에 대한 승복 선언”이라며 “노무현을 새천년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로 뽑아놓고 정몽준으로 후보 교체를 요구하며 노무현 후보 사퇴를 주장하던 ‘후단협’(후보단일화협의회)이 생각난다”고 주장했다.
경선이 계속될수록 ‘집안 싸움’이 더욱 과격해질 것이라는 전망은 민주당의 고민거리다. 진흙탕 싸움에 중도층이 등을 돌릴 수도 있고, 경선 이후 ‘원 팀’을 만드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러나 한 캠프의 관계자는 “우리 후보의 장점을 지지층에게 어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대 후보의 약점을 비판하는 것 또한 경선 과정의 일부”라고 말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경선 과열을 우려하며 후속 조치를 시사했다. 이상민 당 선관위원장도 “계속 (네거티브가) 이어지면 선관위가 단호하게 나설 것이고 따르지 않을 경우에는 보다 중한 조치를 취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