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9일 “백신 접종률을 높여나가면 고강도 방역 조치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방역과 경제와 민생 모두를 지켜내는 새로운 방역전략을 추진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지금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밖에 없다. 하나는 코로나 확산을 차단하는 데 전력을 다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강화된 거리두기 단계를 연장하게 되어 매우 안타까운 마음이다. 국민 여러분의 심정도 같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동안 시행한 고강도 방역 조치가 확산세를 꺾지는 못했어도, 급격한 확산세를 차단하는 데는 분명한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지금 같은 고강도의 방역 조치는 단기간에 한시적으로 쓸 수 있는 비상조치일 뿐 지속 가능한 방안이 될 수 없다”며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재차 언급했다. 그러면서 “최근 백신 접종에 다시 속도를 내면서 40% 이상의 국민들이 1차 접종을 끝냈다. 추석 전 3600만 명 접종을 목표로 나아가고 있다”며 “집단 면역의 목표 시기도 앞당기고, 백신 접종의 목표 인원도 더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충격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책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가장 안타까운 것은 고강도 방역 조치가 연장되면서 소상공인들과 자영업자들이 생존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것”이라며 “우리 사회 전체가 함께 나눠야 할 무거운 짐으로 인식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는 다음주부터 추경 집행을 통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지원할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확산과 거리 두기 강화로 우리 경제의 회복세에 지장을 주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 몇 달째 개선되던 경제 심리가 주춤하고, 나아지던 고용회복 흐름도 다시 둔화하고 있다”며 “정부는 국민의 삶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로서 각오를 새롭게 다지며 코로나 대응과 민생안정을 위해 범정부 총력체제로 임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