吳 ‘서울런’ 8월말 시작… 취약계층 청소년 11만명 대상

입력 2021-08-09 15:36 수정 2021-08-09 16:23
오세훈 서울시장. 연합뉴스

서울시가 계층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서울형 교육플랫폼(서울런·Seoul Learn)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달 말부터 취약계층 청소년에게 우선 지원한다. 하지만 유사 서비스의 수강률이 10% 정도인 데다, 서울시가 강조하는 ‘멘토단’ 구성·운영이 제대로 이뤄질지 등 취지대로 교육사다리 회복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제기된다.

서울시는 9일 ‘서울형 교육플랫폼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선거공약인 서울런은 학력격차 해소를 위해 취약계층 청소년에게 유명 사교육 강의를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한 서울시의 온라인 교육플랫폼 구축 사업이다.

우선 올해 8월말부터 평생학습포털과 연계해 저소득층(수급권자 및 중위소득 50% 이하 차상위 계층)·학교밖·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특정 강사를 선정하거나 새로운 교재를 제작하는 방식이 아니라, 유명 사교육 업체와 계약해 이들의 강의를 제공한다. 서울시는 지원대상 청소년을 약 11만명으로 예상한다.

내년에는 교육 대상을 일반 청소년과 청년으로, 콘텐츠 범위를 교과 외 음악·미술·정보기술(IT) 등으로 넓힐 계획이다. 또 우수 기업의 교육 프로그램을 연계·제공해 취업 역량을 강화한다. 2023년에는 플랫폼 구축을 마무리하고 모든 시민이 학습의 소비자이자 생산자로 참여해 놀이터처럼 즐기는 오픈 스페이스 평생학습 공간으로 정착시킨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3년간 청소년→청년→모든 시민으로 서울런 대상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교육 대상을 확대하더라도 사교육 업체의 교과 학습 콘텐츠는 기존대로 취약계층에만 제공된다.

사교육조장 및 실효성 등의 논란으로 시의회·시민단체의 거센 반발에 부딪히는 진통 끝에 서울런의 기본계획이 수립됐지만, 의구심은 여전하다. 서울런과 유사하게 강남구가 저소득층 학생을 위해 자체 마련한 ‘강남인강’의 경우 수강률이 약 10%인 것으로 알려졌다. 취약계층 청소년 10명 중 1명밖에 듣지 않는다면 교육 사다리 복원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서울시는 멘토링으로 이 문제를 일부 상쇄하길 기대한다. 이를 위해 오는 16일부터 서울시 소재 대학생·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서울런 온라인 멘토단’을 선발한다. 멘토단이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춰 학습 진도를 관리해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키운다는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멘토-학습자 비율을 1 대 4로 가정하고 멘토단 인원을 최소 500명 이상으로 목표하고 있다”며 “참가 학생이 많으면 멘토를 더 뽑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서울시가 예상한 지원대상 11만명 중 절반만 서울런에 참여해도 멘토가 1만명 이상 필요하다. 서울시 관계자는 “타기관 멘토링 프로그램과 연계해 온·오프라인 멘토링 서비스를 지원·확대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며 “빅데이터 축적 및 AI 지능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브라우저 기반의 플랫폼을 구축하면 개인 맞춤형 교육 기반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멘토단에는 별도 활동비는 지원되지 않는 대신 자격증명서가 지급될 예정이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