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광역지자체와 대덕특구 연구기관이 ‘충청권 인공지능(AI)·메타버스(Metaverse)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대전시와 세종시, 충남도, 충북도, 대덕특구 연구기관은 인공지능과 메타버스를 융합한 신사업 발굴에 착수한다고 9일 밝혔다.
앞으로 4개 지자체는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및 메타버스 핵심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지자체에서 실증·확산하는 방식의 생태계를 구축하게 된다.
먼저 인공지능 솔루션과 메타버스 환경을 활용해 바이오·자동차·디지털 헬스케어·반도체 등 지역 주력산업을 지원한다. 이를 사회복지 및 교통, 안전, 환경 분야 등에 적용해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충청권역의 특징과 강점을 살린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대덕특구 연구기관과 함께 전문가 협의체도 결성했다.
협의체는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디지털트윈, 5G, 슈퍼컴퓨팅, 데이터, 콘텐츠 등 인공지능과 메타버스를 융합하는데 필요한 각 요소기술의 전문가가 참여한다.
향후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에너지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분야별 연구기관을 비롯해 국내·외 IT기업과도 손을 잡고 추진단을 구성할 계획이다.
앞서 각 지자체와 자문단은 5일 첫 회의를 열고 인공지능·메타버스와 지역산업의 연계 가능성 및 추진방향을 논의했다.
자문위원장을 맡은 조민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부원장은 “인공지능과 결합한 메타버스로의 사회경제 전환은 코로나19 펜데믹 이후의 시대적 요구”라며 “대덕특구 소재 대학, 정부출연연이 가진 인공지능 기술과 메타버스 인프라 역량이 충청권의 도시 역량과 융합해 보다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상이 결합한 ‘초월(Meta) 세계(Universe)’를 의미하는 단어로, IT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여가·경제활동이 가능한 가상융합공간을 의미한다.
지난달 진행된 정부의 한국형 뉴딜 2.0 발표 당시 초연결 신산업 분야 집중 발굴 육성 계획에서 언급돼 주목받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 전반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인공지능과 메타버스의 융합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며 “사업을 성공시켜 충청권 발전은 물론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