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4차 유행의 기세가 좀처럼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주말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또 이전 기록을 갈아치웠다. 최근 일주일 넘게 하루 평균 코로나19 확진자 100명 이상이 발생한 부산은 10일 0시부터 해운대 등 부산 시내 해수욕장 전체를 폐쇄한다고 밝혔다. 거리두기도 4단계로 격상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729명 늘었다고 밝혔다. 검사 건수가 줄어드는 주말 기준으론 역대 최다치다. 이전 주말 최다기록은 지난달 25일(1487명)이었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이날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최고 단계의 거리두기를 시행 중인데도 지난 한 달간 하루 평균 1500명을 넘는 신규 확진자 수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며 “감염 확산의 규모가 더 커지는 것은 막고 있지만 좀처럼 줄어들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오히려 최근 휴가를 다녀온 이들의 진단검사 건수가 증가하고, 집단 감염이 늘어 다시 확산세로 돌아설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반면 회의 후 브리핑에 나선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환자 감소가 매우 완만한 상황으로 재유행의 위험도 상존해있다”면서도 “(거리두기) 효과가 없지는 않았고, 수도권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던 유행 흐름을 정체시키면서 아주 완만하게 감소하는 국면으로는 전환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유행에선 특히 비수도권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비수도권은 4차 유행 후 처음으로 확진자가 700명을 넘어 국내 발생 확진자의 42.1%를 차지했다. 부산은 4단계 격상 및 부산 시내 해수욕장 전체 폐쇄라는 초강수를 뒀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긴급브리핑을 통해 “휴가철에 더해 광복절 연휴도 있어 지금 확산세를 잡지 못한다면 걷잡을 수 없게 된다”며 “지금 상황이 며칠간 지속된다면 현재의 의료시스템으로는 감당이 어려워진다”고 경고했다. 사적 모임은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2인까지만 허용된다. 모든 행사는 금지되며, 집회도 1인 시위 외엔 허용되지 않는다. 종교시설은 수용인원 20%까지 허용된다. 부산 외에 대전도 9일부터 22일까지 4단계를 적용키로 했다.
비수도권으로 유행이 확산된 것은 적기에 방역 대책이 이뤄지지 않은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4차 유행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 건 지난 6월 20일 즈음이었다. 초기엔 확진자의 70~80%가 수도권에서 발생했고, 정부는 지난달 12일부터 수도권 4단계를 적용했다. 하지만 당시 유행은 이미 비수도권으로 옮겨가는 모양새였다. 같은 달 18일 집계에서 비수도권의 발생률은 30%를 넘어섰지만 그로부터 일주일 뒤에 비수도권의 3단계 격상이 결정됐다. 정부는 지역별 상황이 달라 일괄 조치를 취하면 반발이 발생할 것을 우려했다고 설명했으나 감염 확산을 막을 타이밍을 놓쳤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어 보인다.
백신을 맞은 고위험군에 대한 위험도 커지고 있다. 부산 기장군의 한 요양병원에서는 백신 접종을 완료하고 2주가 지났는데도 감염되는 돌파감염 사례가 34명이나 발생했다. 앞서 서울 강서구의 한 요양병원에서는 지난달 30일 이후 환자 10명과 종사자 1명 등 총 11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앞으로도 요양병원·시설의 돌파감염 사례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델타형(인도) 변이로 백신 방어효과가 떨어지는데다 요양병원·시설은 접종 후 5개월이 지나 항체가 감소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요양병원·시설에서 초기에 백신을 맞은 이들을 대상으로 항체가 아직 남아있는지 검사를 실시해서 부스터샷(추가 접종)이 필요한지 파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예슬 기자, 부산=이영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