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소속 포항지진진상조사위원회가 지난달 29일 발표한 경북 포항지진 진상조사 결과에 대한 불신과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11.15지진지열발전 공동연구단은 지난 4일 한동대학교에서 대책회의를 열고 포항지진진상조사위원회 조사결과가 피해주민이 받아들일 수 없는 수준으로 공정한 진상규명을 위해 분석에 들어가기로 했다.
연구단은 “과학적으로 추가 조사가 거의 되지 않고 밝혀진 자료를 바탕으로 추측과 예상으로 결론을 내린 사항들이 많아 시민들의 수용성이 떨어진다”면서 “조사결과의 부족한 부분을 연구를 통해 밝혀 내겠다”고 밝혔다.
촉발지진의 원인과 책임에 대해 정부조사연구단의 발표내용과 감사원 감사결과 보다 더 자세히 밝혀진 증거와 자료가 매우 부족하고 신청받은 쟁점 위주로만 조사돼 부실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연구단은 위원과 초빙 교수, 변호사 등 외부전문가로 전담연구팀을 구성하고 법률적 검토와 연구 윤리, 근거 부족, 기준 모호 등 미흡한 사항을 분석·대응하기로 했다.
공동연구단이 신청한 진상조사 요청 건 중 누락되거나 부실하게 조사된 사안에 대해서도 정리해 대책을 요구해 나갈 계획이다.
피해주민과 시민단체, 포항시 등도 진상조사 결과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포항시는 지난 3일 ‘포항시 촉발지진 진상규명 및 피해구제 자문단’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진상조사 결과에 대한 학술적·법률적 검토 및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국책사업을 주도한 책임기관들은 명백한 증거가 있음에도 검찰수사를 요청하지 않고, 포항시에 대해서는 증거가 전혀 없음에도 각종 추측으로 책임을 묻고 있어 납득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 2일에는 포항11·15촉발지진범시민대책위원회가 기자회견을 열고 특별검사 임명 등을 통한 진상조사를 요구했다.
범대위는 “이번 조사 결과는 2020년 4월 감사원 감사 결과보다 퇴보해 시민을 기만했다”면서 “특검이나 주민이 참여하는 공정한 조사위원회가 구성돼 다시 공명정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