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 유엔 해비타트(UN-HABITAT·인간 거주 위원회)와 함께 지구 온난화 등에 대비한 ‘해상도시’ 건설에 나설 전망이다.
해상도시는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위협받는 기후 난민을 위한 피난처로, 현대판 ‘노아의 방주’라 불린다. 수상 가옥이나 인공섬과 달리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에너지·물·식량 등을 자급자족하고, 자원을 재활용하는 청색기술(Blue Technology)이 도입된 도시를 일컫는다.
박형준 부산시장과 빅터 키숍 유엔 해비타트 부사무총장은 5일 ‘지속가능한 해상도시’ 파트너십 협약체결을 위한 영상 회의를 진행한다. 상호 간 이견이 없다면 다음 달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고 10월쯤 유엔 실무단이 부산을 방문해 점검한 뒤 올해 연말쯤 정식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파트너 도시로 결정되면 부산 앞바다 2만㎡에 부유식 해상도시 시제품이 건설된다. 시는 이를 위해 사업부지를 제공하고 각종 인허가 등 행정업무를 맡는다. 비용은 유엔 측이 부담한다.
전 세계 도시정책을 관장하는 최고 기구인 유엔 해비타트는 2019년 4월 유엔 본부(뉴욕)에서 열린 총회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위협 해결책으로 ‘해상도시 계획’을 처음 공표했다.
해상도시 건설이 추진된 배경에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2100년 해수면이 지금보다 약 1.1m 상승해 해안지대에 거주하는 전 세계 인구의 30%(24억 명)와 수십억 규모 인프라가 침수 위험에 노출될 것이란 지적 때문이다.
부산시는 유엔 측의 파트너 도시 제안에 긍정적이다. 해상도시 건설과 관련한 선진기술을 선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세계 최초 해상도시 건설로 인한 외국인 관광객 유치 등이 가능할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해수면 상승에 대비하는 UN의 목표는 탄소 중립 전환도시를 지향하는 우리 시 시정 방향과 일치한다”며 “우리 시가 보유하고 있는 조선·플랜트 부분 세계 최고의 기술력이 이번 제안에 반영된 것 같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