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이 배터리사업 분할을 공식화하고 분할 계획을 발표했다. 배터리사업 신설 법인의 기업공개(IPO)가 이른 시일 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SK이노베이션은 전날 이사회를 열고 배터리사업과 E&P사업의 분할을 각각 의결했다고 4일 밝혔다. 10월 1일부로 신설법인 ‘SK배터리주식회사(가칭)’와 ‘SK이엔피주식회사(가칭)’를 각각 공식 출범시킬 예정이다. SK배터리주식회사는 전기차용 중대형 배터리, BaaS, ESS 사업 등을,SK이엔피주식회사는 석유개발 생산·탐사 사업, CCS(탄소 포집∙저장)사업을 각각 수행하게 된다. 두 사업의 분할은 SK이노베이션이 신설 법인의 지분 총수를 소유하는 단순∙물적 분할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두 사업의 분할이 결정되면서 SK이노베이션은 향후 신설 법인의 지분 총수를 ‘그린 포트폴리오 개발’ 역할을 수행하는 지주회사 역할에 역점을 둘 방침이다. SK이노베이션은 그린 영역을 중심으로 R&D, 사업개발, M&A 등을 통해 신사업을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 새롭게 추진 중인 폐배터리 재활용(BMR) 사업도 본격적으로 성장시킬 방침이다.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은 신규 판매물량 확대로 올 상반기 매출 기준 1조원을 처음으로 돌파하는 등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보이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날 2분기 실적공시(잠정)를 통해 배터리 사업의 매출액이 전년 동기(3382억원)대비 약 86% 증가한 630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18년 4분기 매출 1000억원대를 기록한 뒤 불과 2년 여만에 분기 매출 6000억원대를 넘긴 것이다. 영업손실도 전분기 대비 약 788억원 개선된 979억원을 기록하며, 하반기 실적 개선이 가능할 거란 기대가 모이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사업 분할이 글로벌 경쟁력 확보의 터닝 포인트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우선 배터리사업 자금 확보를 위해 신설 법인의 IPO도 이른 시일 내 이뤄질 수 있을 거란 전망이 나온다. SK이노베이션은 2022년 배터리사업의 연간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하고, 2023년부터 영업이익률을 빠르게 개선해 2025년 이후 한 자릿수 후반대의 영업이익률을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르면 내년 IPO가 가능할 거란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과 배터리 분쟁 종료 후 SK이노베이션이 배상금 약 2조원을 지불하며 관련 리스크를 털어낸 만큼 자금 확보가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