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직장 내 갑질 급증…비엔날레 재단도 횡행

입력 2021-08-04 09:36 수정 2021-08-04 14:52

광주·전남지역 직장 내 갑질이 증가추세다. 광주엔날레재단 등 문화예술단체도 예외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광주지방고용노동청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76건, 하반기 97건이던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건수가 올해 상반기에만 107건으로 급증했다. 직속 상관 등의 갑질로 정상적 직장 생활을 하기 힘들다는 호소가 많이 늘어난 것이다.

노동청이 현장조사를 거쳐 직장 내 괴롭힘으로 판단한 사례 역시 지난해 상반기 11건에서 하반기에는 22건으로 2배 늘었다. 올 상반기에도 이미 6건을 인정한 뒤 나머지 신고내용에 대한 진위를 조사 중이다.

‘문화 중심도시’를 추구하는 광주비엔날레 재단에서도 직장 내 갑질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비엔날레 노조는 이날 김선정 전 대표이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노동청 조사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노동부 공식 조사 결과를 통보받았다는 것이다.

노조는 노동청이 지난 4월부터 국민권익위 진정 내용 등을 조사한 결과 김 전 대표이사가 특정 노조원의 부당한 업무배제, 사적 업무지시와 함께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신체적 정신적 고통과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갑질을 했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폭언과 고성을 일삼아온 김 전 대표이사가 ‘2억 원의 후원금을 유치하지 못하면 직급을 강등시킬 것’이라고 부장급 간부를 위협하고 재단 직원들이 무능력해 도무지 일할 수 없다며 상습적 모욕을 가했다고 강조했다. 기차표 예약과 승용차 운전 등 업무 외 사적인 지시도 잦았다고 밝혔다.

공직사회의 갑질도 여전하다. 광주시 감사위가 올해 들어 시와 직속 기관, 사업소, 시의회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갑질 실태’와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설문을 한 결과 전체 응답자 608명 중 308명(50.7%)이 ‘갑질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권위주의적 갑질에 따른 피해는 ‘인격 비하 발언이나 폭언·폭행’을 당했다’는 경우가 35.7%를 차지했다. 상명하복식 서열문화가 여전해 ‘부당한 업무 지시’로 고통을 받았다고 응답한 공무원도 29.3%에 달했다.

광주지방고용노동청은 이에 따라 오는 9일부터 다음 달 8일까지 ‘직장 내 괴롭힘 금지행위 위반 일제 지도 기간’을 운영한다. 더불어 직장 내 갑질에 대한 집중적 지도·단속에 들어간다.

노동청은 기간 내 신고가 접수된 사업장에는 근로감독관을 현장에 보내 직장인 근무환경 실태조사 등을 벌일 계획이다. 이후 구체적 피해 내용을 확인하고 위반 사항에 대해서는 사법적 근로감독에 앞서 개선을 권고할 방침이다.

노동청은 5인 이상의 사업장에 재직 중인 근로자 또는 사업주는 직장 내 괴롭힘 금지 행위에 대해 실명과 익명 관계 없이 신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광주지방고용노동청 관계자는 “직장 내 괴롭힘이 사라져야 우리 사회의 경쟁력도 한층 높아질 것“이라며 “능동적 지도·조사·근로감독을 통해 올바른 직장문화가 뿌리내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