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스백에 백신 담아가라니”…조마조마한 동네병원들

입력 2021-08-03 14:20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 캡처, 국민일보 db

당국이 코로나19 백신 도입 일정 변경에 따라 일부 위탁의료기관에 한시적으로 백신을 직접 배송하게 하자 의료현장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초저온 온도 유지가 필수인 mRNA백신을 동네병원에서 안전하게 배송하는 게 가능할지, 혹 배송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진 않을지 걱정하는 목소리다.

지난달 30일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 “동네병원한테 코로나 백신 배송까지 떠넘기다니요”라는 제목의 청원 글이 올라왔다.

자신을 소아청소년과 의사라고 밝힌 청원인은 “첫 번째 백신 배송이 콜드체인 업체와 군인 대동하에 배송이 됐다. 온도가 올라가면 폐기돼야 하므로 오자마자 즉시 백신 냉장고에 넣어서 온도 유지에 최선을 다했다”고 밝혔다.

문제는 그다음부터였다. 청원인은 “이번 주 백신은 보건소로 가지러 오라고 한다”면서 동네병원이 콜드체인 업체도 아니고 아이스박스로 이 더위에 4도에서 8도로 유지가 잘 되겠나”며 황당해했다.

그는 또 “같은 메디칼 건물에 다른 병원들은 10 바이알이 넘어서 배송해 주지만 그 미만이면 아이스백 가지고 가지러 오라는데, 같은 건물에 배송해 주면서 같이 배송을 해줘야 맞는 것 아니냐”며 “10 바이알은 군인이 지켜야 하고, 9 바이알은 군인이 안 지키고 잃어버려도 되느냐”고 반문했다.

청원인은 “아침 진료도 못하고 한 시간 넘는 보건소를 가는 내내 제일 걱정인 건 온도 유지가 잘 안 될까 봐 너무 조마조마한 점”이라면서 “질병청, 보건소에서 해야 할 중요한 업무를 개인에게 위임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는 끝으로 “동네병원들 다 하는데 동선을 짜서 배송하면 된다. 그게 그렇게 어려운 일이냐. 반드시 시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료계도 위탁 의료기관의 백신 직접 수령에 대해 우려의 뜻을 전했다. 대한의사협회는 지난달 30일 입장문을 통해 “정부가 8월 초 접종 물량 중 일부를 각 지자체로 일괄 배송해 위탁 의료기관이 직접 관할 보건소에서 수령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일선 의료현장에 혼란과 우려가 유발되고 있다”고 밝혔다.

의협은 “코로나19 백신은 일정 수준의 저온 냉장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콜드체인’ 유지가 필수적”이라며 “반드시 일정 온도 유지를 위해 온도계·냉매제 등의 장비를 갖추고 엄격한 관리하에 운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mRNA백신인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은 초저온냉동보관이 필요하다. 화이자의 경우 냉동된 바이알은 영하 70도 이하에서 6개월 보관할 수 있는데, 해동한 바이알은 2~8도에서 한 달간 보관할 수 있다.

원칙대로라면 당국이 관리를 통해 직접 위탁의료기관으로 mRNA백신을 배송해야 한다. 다만 7월 중하순에 들어오기로 했던 모더나 백신 공급이 8월로 미뤄지고, 이에 따라 50대 등의 접종은 화이자로 변경해 진행하게 되면서 백신 공급 방식도 일시적으로 변경됐다.

접종 일정을 맞추기 위해 당국이 모든 위탁의료기관에 공급하던 방식을, 개별 위탁의료기관이 보건소에서 백신을 받도록 일시적으로 변경한 것이다.

이에 당국은 코로나19 백신 공급 일정 등의 사유로 한시적으로 위탁의료기관에서 백신을 수령하고 있다면서도, 초저온 온도를 유지하는 콜드체인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2일 브리핑에서 “이 조치는 일시적인 조치이기 때문에 앞으로는 위탁의료기관까지 콜드체인을 유지해서 배송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김남명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