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장마 이후 본격적인 무더위에 대응하기 위해 4대 분야 14개 과제를 내용으로 하는 ‘맞춤형 폭염대책’을 오는 9월 30일까지 적극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4대 분야는 폭염 대비 대응체계 구축 및 신속한 상황전파, 시민 생활 밀착형 폭염대책 추진, 현장 여건에 따른 폭염 피해 예방대책 추진, 폭염 예방 홍보 및 시민의식 개선 등이다.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 되는 가운데 연일 폭염특보가 지속되고 있고, 특히 2018년과 같은 극한 폭염도 예상되고 있어 코로나19 방역과 조화를 이루는 폭염대책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생활밀착형 폭염대책으로는 공공청사 등 21곳을 무더위쉼터로 추가 지정, 956곳을 운영 중이고 특히 코로나19 상황으로 실내 무더위쉼터 이용이 제한될 것을 감안, 도심지 소공원 등 14곳의 야외 무더위쉼터를 별도 운영 중이다.
폭염저감시설도 확충해 나가고 있다.
유동인구가 많고 신호대기 시간이 긴 건널목 11곳에는 사물인터넷(IoT)과 태양광기술을 접목한 자동개폐식 인공지능형 스마트그늘막을 설치했다. 지열로 뜨거워진 도로열 감소를 위한 도로 살수작업도 전 구간에 걸쳐 매일 실시하고 있다.
폭염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재난도우미 5242명을 활용해 홀몸어르신 등 취약계층 4만 7785명에 대해 매일 직접 방문 또는 2~3회 안부전화를 통해 안전여부를 확인한다.
또 냉방용품 지원 등을 위해 재난안전특별교부세 1억 7000만원을 지난 6월 구군에 교부했고 시 차원에서도 8월 중에 냉방용품을 지원한다.
손연석 시민안전실장은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은 생활 속에서 기본적인 행동수칙을 지키는 것으로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폭염피해 예방수칙 등을 잘 지켜 주시기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시 폭염 특보에 생활밀착형 대책 강화
입력 2021-08-03 1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