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품 사용금지’ … 지자체들, 친환경 청사 만들기 확산

입력 2021-08-01 15:28
순창군이 지난 5월 각 주민센터 앞에 내건 일회용품 반입 금지 배너. 순창군 제공.

지방자치단체들이 청사 등 공공기관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하는 시책을 적극 펴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배달 용기 등 일회용품 사용이 증가해 이를 억제하고 친환경 청사 만들기를 위한 움직임이다.

전북 전주시는 2일부터 청사 내부에서 일회용품을 쓰지 않겠다고 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앞으로 테이크아웃 컵 등 일회용기를 들고 시청사에 들어올 수 없다. 로비에 있는 카페를 이용할 때도 개인 텀블러에 음료를 담아가야 한다. 각종 회의나 행사장에서도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한다. 시는 각 사무실 실태를 점검해 친환경 정책에 적극 동참한 직원에게는 혜택을 주기로 했다.

최현창 기획조정국장은 “폐기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일회용품을 쓰지 않아야 한다”며 “친환경 생활문화가 지역사회 전반에 확산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부터 이를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강원 춘천시는 오는 4일 춘천경찰서, 춘천소방서와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업무협약을 맺을 예정이다. 춘천시는 이미 2019년 7월부터 시 청사안에서 일회용품 사용과 반입 금지 운동을 펴 왔다. 춘천시는 ‘Zero-Waste 춘천, 2450 플랜’을 내세우고 외부로부터 일회용 컵과 빨대, 배달 용기 반입을 금지하고 개인용 텀블러와 다회용 컵 사용을 독려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2월부터 지역 공공기관들과의 협약을 바탕으로 61개 공공기관 청사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시는 1회용품, 자원낭비, 음식물쓰레기 등을 없애기 위한 이른바 ‘3무(無) 친환경 자원순환’ 방향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시도 지난 3월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종합대책’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부산시는 1월 제정한 ‘일회용품 사용줄이기 조례’에 따라 공공기관과 체육시설, 부산시가 주관하는 행사장 등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했다. 민간이 운영하더라도 부산시와 위수탁계약을 맺은 시설에 한해서는 일회용품 사용 및 반입이 금지됐다.

이와 함께 전북 순창군과 경북 포항시 등도 공공기관 내 회의, 행사 등에서 일회용컵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운동을 시행하고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