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대권 주자인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남성들의 경우에는 군복무에 따른 피해의식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군 가산점은 위헌이라는 판정이 나와 있기 때문에 대안으로 저는 병역을 마치고 나오는 청년들에게 사회출발자금을 드리는 것이 어떤가하는 대안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29일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토크콘서트에서 ‘민주당에 대한 20대 남성의 지지율을 어떻게 회복하려 하는가’라는 취지의 질문을 받고 이같이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정부에서도 최근 군 장병에게 1000만원 정도의 사회출발자금 주는 것으로 시작했다. 그 간격을 좁혀나가고 제도를 정비하면 시행할 수 있겠다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그는 정부의 사회출발자금을 환영하며 적금 한도를 늘리고, 특별장기저리대출금을 보태 3000만원까지 지원 액수를 확대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 전 대표는 여성가족부 산하기관에서 ‘남성은 잠재적 가해자’라는 내용의 교육자료를 배포한 데 대해선 “상대 성(性)에 대해서 조금 더 배려심을 가지고 모든 표현 하나하나도 섬세하게 했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4·7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당헌을 바꿔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후보를 낸 것에 대한 질문도 나왔다. 이 전 대표는 이에 대해 “사실 당내에선 많은 고민이 있었다”며 “피해자들께는 굉장히 송구스러운 마음을 지금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저희들이 그 당시에 고민했던 건 대선을 11개월 앞둔 시점에 서울과 부산의 선거에 우리 당원들이 모두 쉬고 있을 수 있을 것인가 하는 현실적 고민이 있었다는 걸 고백드린다”고 답했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