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대선 주자인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28일 당밖 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게 “계파 우려를 불식시키자”며 공개 회동을 제의했다. 최 전 원장의 전격 회동 제안은 윤 전 총장과 자신의 야권 후보 양강 구도를 명확히하기 위한 포석도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윤 전 총장 측은 “적절한 시기에 만나자”며 당장의 회동에는 유보적 입장이다.
최 전 원장은 이날 회동 제안문을 통해 “윤 전 총장과 만나 현재의 시국 상황을 허심탄회하게 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밝혔다. 이어 “언론에서는 계파 정치 프레임을 내세워 보도하는 등 여러모로 어수선하다. 그 누구도 원하지 않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최 전 원장은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 대해 지난 시절 계파 갈등의 폐해를 누구보다 심각히 경험한 국민의힘 당원이나 지지자 입장에서 불안하게 생각하는 것 또한 엄연한 현실”이라며 “이는 정권교체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친윤’(친윤석열계)과 ‘반윤’ 간 갈등이 불거지는 상황에서 대한 봉합을 명분으로 회동을 제안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최 전 원장이 ‘계파 갈등’을 회동 명분으로 던지면서 윤 전 총장에게 ‘계파 프레임’을 던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 양측의 갈등은 어느 정도 수면 위로 드러난 상황이다. 윤 전 총장과 가까운 정진석 의원과 최 전 원장 지지하는 김용판 의원은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관련 1인 릴레위 시위를 놓고 공개적으로 전날 충돌한 바 있다.
최 전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에 차려진 ‘열린캠프’ 사무실을 찾은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이 우려하시는 분열이나 계파 조성 이런 것들에 대한 우려가 있을 것 같습니다”며 “그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이제는 공개적으로 힘을 합쳐서 같은 동지로서 정권교체 그리고 더 나은 나라를 만든다는 목표를 이뤄내기 위해 함께 모여서 허심탄회하게 그런 방안을 모색해 보자는 뜻으로 제안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전 원장은 또 윤 전 총장에 대해 “정권교체의 도정에서 함께 해야 할 동지로 인식하고 있다”며 “기성 정치권의 변화와 혁신에 함께 긍정적 역할을 해야 할 정치파트너라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후발 주자이자 지지율에서 뒤지고 있는 최 전 원장이 윤 전 총장과의 회동을 통해 야권 후보 양강 구도를 짰다는 분석도 나온다.
윤 전 총장 측은 당장의 회동에는 유보적이다. 윤 전 총장 캠프 관계자는 “언제든 때가 되면 시기 적절한 때 만나볼 수 있다”며 “적절한 시기나 상황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헌 강보현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