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산사태보다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땅밀림’ 위험지역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정비에 나선다.
산림청은 28일 ‘땅밀림 예방·대응 추진사항 및 향후계획’을 발표했다.
땅밀림은 땅속에 물이 차오르며 약해진 땅이 비탈면을 따라 대규모로 서서히 무너지는 현상이다. 산사태보다 피해 규모가 클 수도 있어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앞서 산림청은 과거보다 5m 이상 ‘표고변위’가 발생한 지역을 선별하고 전국 19만여곳의 땅밀림 우려지를 추출했다.
조사 결과 땅밀림 발생 의심이나 위험성이 높은 A등급은 39개소, 땅밀림 발생이 우려되는 B등급은 38개소로 판별됐다.
이중 인명·재산 피해 위험성이 높아 구조물을 직접 설치해야 하는 곳은 22개소였으며 주기적인 검사 등이 필요한 곳은 55개소였다.
산림청은 관리대상지를 확대하기 위해 2028년까지 총 2만곳에 대한 실태조사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구조물 대책이 필요한 지역은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즉시 복구를 추진한다. 땅밀림 무인원격감시시스템은 시범운영 결과에 따라 시스템을 보완해 확대할 계획이다.
땅밀림의 효율적인 복구와 상시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우려지 관리지침도 수립한다. 땅밀림 우려지는 필요 시 기초·실태조사를 별도로 실시한 뒤 산사태취약지역으로 지정·관리한다.
이밖에 땅밀림 발생의 과학적 예측을 위해 지질·지형 등의 위험인자를 분석, 2024년을 목표로 전국 땅밀림 위험지도 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폭염이 끝난 이후 태풍 등에 대한 비상대피 권고·명령이 있을 경우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