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속된 폭염으로 경북 동해안에 고수온주의보가 발령된 가운데 동해안 지역 육상 양식장에서 물고기 약 5만7000여마리가 집단 폐사하면서 양식장을 운영하는 어민들에게 비상이 걸렸다.
경북도는 지난 24일 울진의 한 양식장에서 강도다리가 집단 폐사한 것을 시작으로 27일까지 울진 2곳, 영덕 3곳, 포항 1곳 등 총 6곳에서 6만마리 가까운 물고기가 폐사했다고 28일 밝혔다. 또 27일 하루에만 영덕 2곳과 울진·포항 각 1곳의 양식장에서 물고기 1만5000여마리가 죽은 것으로 알려졌다.
폐사한 물고기는 지역별로 울진 4만5000여마리, 포항 8000여마리, 영덕 3600여마리에 달하는 등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
강원도 내 양식장 81곳은 강도다리, 조피볼락, 넙치, 전복, 돔류 등 1700만여마리를 양식하고 있다. 그중 이번에 폐사한 물고기를 어종별로 파악한 결과 대부분 강도다리이고 일부는 넙치인 것으로 파악됐다. 강도다리는 국내 양식장에서 양식되는 물고기 중 대다수를 차지하며 고수온에 약한 물고기로 알려져 있다.
양식장은 주로 표층 바닷물을 끌어들여 물고기 양식에 사용하기 때문에 폭염으로 수온이 높아진 바닷물이 이번 폐사의 큰 원인일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28일 오전 9시30분을 기준으로 포항시 구룡포읍 하정리를 비롯해 울진군 후포면 등의 표층수온은 26∼27도를 넘나들고 있다. 강도다리는 적정 생육 수온이 약 20도이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생육하기 어려운 수온인 셈이다.
도와 각 시·군은 물고기 집단 폐사 규모가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현재 각 양식장을 대상으로 폐사 현황을 조사하고 양식 어류 조기 출하를 유도하며 액화 산소, 냉각기, 순환펌프 등을 지원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냉수대와 고수온이 겹치면서 수온 변화가 커서 물고기 양식에 상당히 불리한 조건”이라며 “추가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각 시·군과 양식장에 관리 방안을 세우도록 했다”고 밝혔다.
노유림 인턴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