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대선주자들, ‘원팀’ 외치고는 돌아서서 신경전

입력 2021-07-28 11:30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들은 28일 상호 네거티브 공세를 자제하자는 협약을 맺은 직후에도 신경전을 이어갔다. 상대방의 네거티브에는 맞대응하겠다거나 능력검증은 지속하겠다는 뼈있는 말로 갈등의 불씨를 남겼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당사에서 제20대 대통령선거 원팀 협약식을 개최했다. 대권주자 6명이 모두 참석해 대선 후보로서 품위를 지키고 선의의 경쟁을 펼치자는 데 뜻을 모았다. 모든 후보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선서문을 낭독한 뒤 직접 서명했다.

이어 정책기조발언을 통해 깨끗한 선거운동을 다짐했다. 이 지사는 “이렇게 원팀 협약식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 돼 송구하다”며 “예선에서 상처를 깊게 입으면 본선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점을 새기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와 설전을 벌여 온 이낙연 전 대표도 “원팀 선언을 가장 잘 이행하는 후보가 되겠다”며 몸을 낮췄다.


하지만 협약식이 끝나자마자 분위기가 급변했다. 이 지사는 협약식 뒤 기자들과 만나 “없는 사실을 지어낸, 흑색선전에 가까운 네거티브를 방치할 수는 없다”며 맞대응을 예고했다. 또 일부 지지자들의 네거티브 공세를 고의적인 이간책이라고 규정한 뒤 “잘 가려봐야겠다”고 했다. 최근 이 지사의 병역문제를 비판한 민주당 지지자의 홍보물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됐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역시 “말로만 개혁하느냐는 지지층의 불신이 증폭된 만큼 공약을 실천할 수 있느냐는 질문으로 (상대 후보들을 계속해서) 검증해야 한다”며 날을 세웠다. 그동안 “0점짜리 당대표”라고 몰아붙여 온 이 전 대표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앞선 네거티브 공방전에 대한 앙금도 묻어나왔다. 이 전 대표는 “앞으로는 정말 먼지같이 하찮고 티끌같이 가벼운 일에 시간 낭비할 여력이 없다는 걸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며 상대 후보들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그간 이 지사 측이 요구해온 당의 네거티브 강제 제재 조항은 협약식 문건에서 빠졌다. 이를 두고도 이 지사는 “아쉽다”고 했지만 이 전 대표는 “이미 서명해서 다 발표한 내용”이라며 온도차를 드러냈다.

당 선관위 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데는 일부 공감대가 형성됐다. 정세균 전 총리는 “각 후보에 대한 당의 검증시스템이 전혀 없다”며 당의 역할을 강조했다. 박용진 의원도 “네거티브 공세에 대해 당이 캠프에만 책임을 묻지 말라”고 촉구했다.

당내에서는 원팀을 응원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윤건영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2012년과 2017년 대선을 돌아보며 “원팀으로 가는 것이 후보가 사는 길이자 우리 모두가 사는 길”이라고 당부했다.

오주환 박재현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