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D가 결핍되거나 운동 부족 시 바이러스 감염이나 암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체내 면역세포의 활성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남성의 경우 비타민 D 결핍과, 여성 및 고령층은 운동 부족과 면역세포의 활성도 감소가 연관성이 높게 나왔다.
차의과학대 라이프센터 차움 면역증강클리닉 오수연 교수와 임상유전체센터 최상운 교수팀은 ‘비타민D 결핍’과 ‘운동 부족’이 면역세포인 NK세포 활성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나이와 성별에 따른 NK세포 활성도의 차이, 비타민D와 운동이 NK세포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연구팀은 2016~2018년 차움에서 건강검진받은 2095명을 대상으로 ‘NK 세포 활성도’를 면역력 지표로 활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NK세포는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라는 선천 면역세포로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항하거나 암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러 연구에서 NK세포의 기능 저하가 암이나 감염병 발생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NK세포의 활성도 검사는 면역력의 기능적 상태를 알아보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나이가 들수록 NK세포 활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남성에서만 관찰됐는데, 특히 18~40세 남성에 비해 50~70대에서 NK세포 활성도가 줄어들었다.
비타민D가 결핍되거나 운동이 부족한 경우에도 NK세포의 활성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비타민 D결핍은 남성에서, 운동 부족은 여성 및 고령층에서 영향이 컸다.
남성은 비타민D 결핍 시 NK세포 활성도가 낮을 위험이 2.8배 증가했다. 여성은 운동하지 않을 경우 1.9배 증가했다. 60대 이상 고령층은 운동 부족일 경우 남녀 모두에서 NK세포의 활성도가 낮을 위험도가 5.6배 높았다.
오수연 교수는 “비타민 D와 운동이 면역력에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성별, 연령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연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남성의 경우는 비타민D 결핍이 NK세포의 감소로 이어지는 만큼, 면역력 향상을 위해 평소 영양상태를 잘 유지해야 하고 여성과 고령층은 운동이 면역력에 중요한 요소이므로 주 2~4회씩, 1~2시간 정도의 운동을 꼭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면역학회지(Frontiers in Immun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