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가 본격화하는 28일 이후 확진자 추이에 따라 향후 4차 유행의 향방이 달라질 전망이다. 당장은 수도권 확산세가 둔화했지만 최악의 경우 ‘계단식 확산’ 구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7일은 수도권에선 4단계 시행 이후 세 번째로 맞는 화요일이자 통상 바이러스 잠복기로 간주하는 2주를 넘긴 뒤인데도 신규 확진자가 거의 줄지 않았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365명이라고 밝혔다. 그중 861명이 수도권에서 나왔다. 지난 13일 0시 기준은 794명이었다. 방역 당국은 증가 속도가 이전보다 다소 완화됐다며 향후 완만한 감소세가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4단계의 뚜렷한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 대표적 이유로 델타형 변이를 지목했다. 지난 18~24일 델타 변이 검출률은 51%로 전체 유전자 분석 건수의 절반을 넘겼다. 비수도권으로부터의 역유입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비수도권의 집단감염을 초기에 차단하지 못하면 잠재된 감염원이 된다”며 “악화된 비수도권 상황이 수도권에 다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4차 유행의 향배를 가늠할 분기점은 28일 이후가 꼽힌다. 우세종이 된 델타형 변이와 4단계 거리두기 효과 중 균형추가 어느 쪽으로 기우느냐에 달렸다는 것이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당장 2000~3000명 규모로 급증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현재 수준의 확진자 수도 위협적”이라며 “감소세 전환 없이 정체 양상을 이어가다 다시 확산하는 ‘계단식 구조’로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함께 힘을 모아 2주 안에 반드시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각 지자체는 방역 상황이 엄중하다고 판단될 경우 고위험 시설 집합금지나 영업시간 제한 등 지역 여건에 맞는 과감한 방역 강화조치를 선제적으로 시행해달라”고 당부했다.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은 예고대로 일제히 거리두기 단계를 끌어올렸다. 모두 160개 비수도권 시·군·구 중 124곳이 3단계 이상을 시행했다. 대전, 경남 김해, 강원도 양양은 지역 내의 거센 유행을 반영해 4단계를 적용했다. 인구가 10만명에 못 미치는 기초 지자체 중 확진자가 적은 23곳은 비수도권 일괄 3단계에서 벗어나 2단계를 실시했다. 전국에서 경북 13개 시·군만이 1단계를 적용키로 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