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카뱅) 공모주 일반 청약에 증거금 58조원이 모였다. 경쟁률은 182대 1을 기록했다.
27일 대표 주관사 KB증권에 따르면 카뱅 청약 마감 결과 증권사 4곳에 들어온 청약 증거금은 총 58조3020억원으로 공식 집계됐다.
중복 청약이 가능했던 SK아이이테크놀로지(80조9000억원)나 SK바이오사이언스(63조6000억원)에는 미치지 못하는 규모다.
청약 첫날 12조522억원, 둘째날 45조7천369억원이 몰렸다. 중복 청약이 불가능한 탓에 많은 투자자가 증권사별 경쟁률을 보고 막판에 청약한 것으로 보인다.
증권사별로 모인 증거금은 모집 수량의 53.8%가 배정된 KB증권이 28조8573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36.5%가 배정된 한국투자증권에 24조1814억원이 모였고, 하나금융투자(5.8%)와 현대차증권(3.8%)에 각각 3조788억원, 2조1846억원이 들어왔다.
최종 통합 경쟁률은 182.7대 1로 집계됐다. 증권사별로는 한국투자증권이 207.4대 1로 가장 높았다. 이어 현대차증권 178.0대 1, KB증권 168.0대 1, 하나금융투자 167.3대 1 순이었다.
카뱅 공모 청약에서 일반 투자자에게 배정된 물량은 총 1636만2500주다. 대표 주관사인 KB증권에 배정된 물량이 881만577주로 가장 많고 한국투자증권(597만8606주), 하나금융투자(94만3990주), 현대차증권(62만9327주) 순으로 뒤를 잇는다.
카뱅 청약에도 모집 물량의 절반 정도를 모든 청약자에게 똑같이 배분하는 균등 배정 방식이 적용된다. 각사 균등 배정분은 KB 약 441만주, 한투 약 299만주, 하나 약 47만주, 현차 약 31만주 등이다.
4개사 모두 청약자 수가 균등 물량을 초과하지 않았다. 이에 청약 최소 단위인 10주 증거금 19만5000원 이상을 낸 모든 청약자가 최소 1주 이상을 확보한다.
최소 청약으로 균등 배정 받는 주식 수는 약 4.39주로 집계됐다. KB증권은 5.29주, 한국투자증권은 3.41주, 하나금융투자는 4.49주, 현대차증권은 6.4주로 계산된다.
나머지 절반은 비례 방식으로 배정한다.
앞서 카뱅은 기관 투자자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를 희망 범위 상단인 3만9000원으로 확정했다. 공모 금액은 2조5525억원으로 삼성생명(4조8881억원), 넷마블(2조6617억원)에 이어 역대 세 번째 규모다.
일반 청약을 마무리한 카뱅은 다음 달 6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