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을 맞고도 확진 판정을 받은 사례가 554만3933명 중 779명으로 조사됐다. 인구 10만명당 14.1명꼴이다.
방역 당국은 27일 오후 브리핑에서 ‘돌파 감염’ 사례 중 백신 종류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가 169명, 화이자 172명, 얀센이 437명, 교차 접종이 1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돌파 감염 추정 사례 중에서 변이 바이러스 분석이 시행된 226명 중 72명에서 주요 변이가 확인됐다. 위중증자는 5명이었고, 사망자는 없었다.
이상원 역학조사분석단장은 “모든 백신에서 돌파 감염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돌파 감염 자체가 특이사항이라고 말씀드릴 수는 없다”며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의 돌파 감염의 발생률은 매우 낮으며, 접종 완료 후 돌파 감염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중증률이나 치명률도 낮다”고 설명했다.
이달 말 국내에 공급될 예정이었던 모더나 백신은 다음 달 들어온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모더나사에 따르면 7월 말 공급 예정 물량 일정이 8월로 조정됐다”며 “7월 물량에 대해서는 제약사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공급 일정을 확정하고 공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신속히 안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추진단은 이어 “최근 모더나사 측에서 당초 7월 공급 예정이던 백신 물량이 생산 차질 문제로 공급 일정 조정이 불가피함을 통보했다”며 “이에 따라 세부 일정 등을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추진단은 또 “8월 공급은 7월 공급 물량과 제조소가 달라 당초 계획대로 진행될 예정임을 확인했다”고 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