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민심 잡아라’…與주자들 ‘국토보유세·토지공개념’ 도입

입력 2021-07-27 09:24 수정 2021-07-27 09:41

여권 대선주자들이 저마다 심혈을 기울여 부동산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문재인정부의 아킬레스건인 부동산 문제에 대한 ‘합리적이고 납득할 수 있는 해법’을 제시해야 대선 승부처인 ‘부동산 민심’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후보 6인이 저마다의 공약을 내걸었지만, 여권 유력주자들의 부동산공약은 ‘투기 근절’을 위한 불요 부동산 보유 억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지난 25일 광주 서구 더불어민주당 광주광역시당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권 1위 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의 부동산 공약은 기본시리즈 중 하나인 ‘기본주택’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역세권에 기본주택을 짓고 저렴한 가격에 공급해 평생 거주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저소득층뿐 아니라 누구든 신청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 지사는 이와 함께 실거주하지 않는 ‘비필수 부동산’에 대해서는 불로소득을 벌어들이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징벌적 과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함께 내세웠다. 투기수요를 억제하기 위해서 재산세 등 기존의 세제에 국토보유세를 도입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또 부동산감독원을 설치해 부동산 불공정 거래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공약도 내세우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이낙연 전 대표가 26일 오후 광주 동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MZ세대' 사무직노조와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전 대표의 부동산 공약은 토지독점규제 3법이 핵심이다. 택지소유상한법·개발이익환수법·종합부동산세법을 이미 발의한 상태이며 연내 국회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택지소유상한제는 1인당 서울·수도권 택지를 400평(약 1320㎡) 이상 소유할 수 없도록 한 제도로 1994년 과도한 재산권 침해라며 위헌 결정으로 사라졌던 제도다. 초과 보유 토지에 가산세를 부과해 토지 소유를 억제하고, 이를 통해 확보된 세수는 공공임대주택 확충에 쓴다는 계획이다.

이 전 대표는 주택정책을 전담할 주택지역개발부(주택부) 신설도 공약으로 내놓았다. 그 외에 환매조건부를 활용해 청년 등 무주택자에 반값 아파트를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반지하방과 옥탑방, 고시원 등 ‘지옥고’를 단계적으로 없애겠다는 것이 이 전 대표의 구상이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당대표 시절부터 주장해온 ‘지대개혁’을 대선 공약으로 강조하고 있다. 종부세 등 보유세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평균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또 공공택지를 감정평가액이 아닌 조성원가 기준으로 분양하는 택지조성원가 연동제를 도입해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주택을 공급하는 정책을 제안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대규모 주택 물량 공급에 방점을 찍고 있다. 청년, 저소득층 등 주거 취약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100만호, 공공분양주택 300만호 등 총 130만호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공공분양의 경우에는 절반은 ‘반값 아파트’로 공급하고, 나머지 절반은 10~20년에 걸쳐 분할해서 내는 지분적립형 주택으로 공급한다는 구상이다.

박용진 의원은 유일하게 규제 완화를 내걸었다. 대규모 재건축·재개발을 통해 서울 내 노후 주택을 양질의 주택으로 짓는 방안이다. 또 김포공항 부지를 스마트시티로 전환해 20만호를 공급하겠다고 했다.

균형발전을 강조하고 있는 김두관 의원은 서울·수도권 부동산 투기 차단을 위한 지방분권 강화 정책 위주로 공약을 제시했다. 또 무주택 서민이 주택을 마련할 수 있도록 ‘국책모기지’를 조성하는 방안도 공약에 포함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