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우리는 북한과 신뢰할 수 있고 예측 가능하며 건설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한·미·일 차관협의 정례화 계획을 밝히면서 3국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했다.
셔먼 부장관은 23일 외교부 청사에서 최종건 1차관과 제9차 외교차관 전략대화를 마친 뒤 약식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북한에 대화를 제안했으며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한의 상황과 관련, “팬데믹과 식량 안보 문제로 가장 어려운 상황에 처한 북한 주민들이 안쓰럽다”며 “우리는 북한 주민들을 위한 더 나은 결과만을 바란다”고 덧붙였다.
중국과의 대북 문제 협력도 예고했다. 셔먼 부장관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는 확실히 (미·중 간) 협력 분야”라면서 “중국은 분명히 생각을 갖고 있으며, 중국 측과 만남에서 그 문제를 논의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셔먼 부장관은 오는 25~26일 중국을 방문해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회담할 예정이다. 그는 “우리의 지속적인 협의 일환으로 내가 들은 바를 한국 및 일본과 공유하겠다며 한·미·일 3국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 해법을 모색하겠다는 기조를 재확인했다.
한·미·일 차관협의는 분기별로 정례적으로 열릴 전망이다. 셔먼 부장관은 “가을에 3자 협의를 다시 하기로 했고 아마 워싱턴에서 만날 것”이라고 말하면서 정례화 계획을 알렸다. 이어 “우리의 글로벌 책임, 우리 국민들의 미래, 모두의 평화, 번영, 안정, 안보를 위해 우리가 협력할 수 있는 방안에 집중할 것”이라며 “중국 및 북한과 관련해 함께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점에 매우 감사하다”고 말했다.
최 차관은 약식 회견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이라는 목표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서는 북한과 조기 대화 재개를 위한 양국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고 밝혔다. 최 차관 역시 “북한을 대화로 끌어내는 데 있어 중국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북한과 대화 재개 노력에 대해선 “코로나 시기인 만큼 북한 측 화답을 끈기 있게 기다리려고 한다”며 “기다리는 동안 한·미가 여러 채널을 통해 공조할 부분들은 만들어 가고 있으니 북한의 조속한 답이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