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자영업자들을 만나 일부 비과학적 방역 수칙에는 공격적으로 맞서겠다면서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적용 기준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이 대표는 22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DMC타워에서 열린 중소상공인·자영업자 현안 간담회에 참석 “방역에 대해 (지적하면) 국민 비판을 받을 지점이 생긴다는 위험부담을 알고 있다”면서도 “당 입장에서 앞으로 조금 더 공격적으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프랜차이즈 카페가 아니면 방역 기준이 달리 적용된다든지, 조용히 게임을 즐기는 PC방에도 영업제한이 들어간다든지 비과학적이고 탁상공론 가까운 방역행정에 대해서 꾸준히 야당이 지적하겠다”면서 “비과학적 방역수칙, 과도한 제한이 적용되거나 방역의 책임을 정부가 아니라 자영업자, 시민에게 떠넘기는 행위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맞서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통제식 방역’ 보완의 필요성과 함께 확진자 수 기반모델보다는 치명률이나 중증 환자 비율과 관련한 다른 통계를 연구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대표는 “야당에서, 여당에서도 그런 논의가 활성화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매일 1500명 익숙…경제활동 위축되면 안 돼”
앞서 그는 전날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토론회와 이날 오전 라디오 방송 등에서도 통제식 방역의 한계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변이도 그렇고 여러 변이가 치명률은 낮추고 확산성은 높아지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지 않나”며 “다른 나라들에서 보면 확진자 수 모델이 아니라 예를 들어서 다른 모델들 치명률이나 병상 통계나 다양한 통계를 활용해서 위험도를 평가하려고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감기처럼 달고 살면서 치료에 집중해야 하냐’는 진행자의 질문에는 “전문가들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 “판단 기준부터 다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매일 1500명 이상이 (코로나19에) 사실 익숙해지고 있다”며 “그런 상황 속에서도 경제활동이 과거처럼 위축되면 안 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