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가 “올림픽 한다”…선수단·기자 방역수칙 위반시 14일 대기처분

입력 2021-07-22 16:09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가 도쿄올림픽 개막 1주일을 앞둔 지난 16일 관저에서 올림픽 추진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도쿄올림픽 개최 강행 의지를 드러냈다. 일본 정부는 선수들 및 외신 관계자들이 방역수칙을 어기면 최대 14일 동안 숙소에서 나오지 못하게 한다는 초강수를 뒀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현지시간) 전날 진행된 스가 총리 인터뷰를 공개했다. 스가 총리는 인터뷰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올림픽을 개최하는 일을 도전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내각과 참모들은 그동안 올림픽을 취소해야 한다는 조언을 여러 차례 받았지만 스스로 강행했다”면서 “취소가 제일 쉽고 편한 일인 줄 알지만 도전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일본 정부에 올림픽 개최를 밀어붙였다는 의혹은 강하게 부정했다. 스가 총리는 “일본은 손을 들어 (올림픽을) 유치했다”면서 “압력이 있었다면 이를 단호히 거부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일본은 백신 접종과 방역 대책을 동시에 시행하고 있어 개최 환경이 마련됐고, 확진자 규모도 해외에 비해 적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본의 이날 신규 확진자는 4932명이고, 도쿄도에서만 18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왔다.

도쿄 시부야 스카이 전망대에서 바라본 메인 스타디움. 2020 도쿄올림픽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코로나 19로 인해 1년이 연기되고 1년이 지난 지금도 코로나19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지만 일본은 올림픽을 강행했다. 세상 어디에도 없던 그 올림픽이 이제 곧 시작이다. 도쿄=김지훈 기자

일본 정부와 올림픽조직위원회(조직위)는 이날 2회 이상 방역수칙을 어기는 선수들과 외신 관계자들에게 최대 14일 동안 숙소에 대기시키는 ‘대기처분’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조직위는 선수 뿐 아니라 대회 관계자들에게도 사전 허가 없이는 신고장소 외의 이동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도쿄 주요 관광지에서는 무단으로 호텔을 이탈한 외신 관계자들의 모습이 보도되면서 조직위 관리규칙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조직위는 선수 개인이나 외신 관계자들이 방역수칙을 위반할 경우 주의를 주고, 재차 위반이 확인되면 숙소에서 최대 14일 간 대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고의나 악의적인 경우라고 판단될 경우 벌금과 출입자격을 박탈하는 방법도 논의되고 있다. 조직위 관계자는 “코로나19 검사 결과 오제출이나 미제출일 때도 같은 처분을 내릴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본 내에서는 ‘숙소대기령’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직위는 선수나 외신 관계자들의 위반 행위 파악을 제보자 증언과 카메라 영상 등을 통해 확인할 계획이다. 요미우리신문은 “조직위가 숙소에 경비원을 상시 복수 배치하고 불시 검사를 실시하는 등의 감시 강화 방안도 검토하고 있으나 이들의 행동을 모두 파악하거나 추적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