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유출과 저출산 등 인구 감소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부산시가 맞춤형 인구종합대책을 내놨다. 시 차원의 맞춤형 인구종합대책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부산시는 지역 맞춤형 인구종합대책인 ‘제1차 부산시 인구정책 기본계획’(2021~2025)을 22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에 목표 인구수를 제시하지 않았다. 저성장과 인구 감소추세를 받아들이는 대신 청년·고령층·1인가구·외국인 등 모든 세대와 계층이 행복하고,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데 정책의 초점을 두겠다는 취지라는 것이 시는 설명이다.
기본계획은 일하기 좋은 도시, 청년이 머무르는 도시, 가족이 행복한 도시, 축소사회 선제 대응, 활기찬 초고령사회, 균형·포용적 도시 등 6대 분야, 25대 세부과제, 109개 주요 사업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5년간 3조5736억원을 투입한다.
산학 협력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창업 활성화에 주력하고 청년의 안정적인 지역 정착을 위해 ‘내 집 마련’ 지원을 추진한다. 15분 안에 직장, 근린시설, 쇼핑, 문화, 의료 등을 이용할 수 있는 ‘15분 도시’ 조성을 위해 교통·헬스케어·안전관리 등 분야에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다. 또 신중년 경제 자립을 통한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고 외국인, 다문화, 청소년 등 세대와 계층의 균형과 포용을 추진하는 등 패러다임 전환을 구현하겠다는 계획이다.
부산의 인구는 1995년 389만명을 정점으로 지난달 기준 336만명으로 지속해서 감소했다. 총인구 규모뿐만 아니라, 합계출산율, 고령화율, 가구구조, 지방소멸위험지수 등 모든 주요 인구 지표에서 부정적 추세를 보인다. 주요 원인으로는 수도권으로의 일방적인 인구 유출과 저출산 심화를 지목했다. 2018년부터는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더 많아졌다. 부산의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5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다. 반면 고령화율은 19.4%로 광역단체 중 가장 높아 오는 9월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박형준 시장은 “저성장과 인구감소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제1차 인구정책 기본계획은 인구 증가에 주력하는 대신 시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높이는 정책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