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총 8886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이 폐기, 이 중 86.2%가 백신 보관 적정 온도 일탈 때문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이 확보한 ‘코로나19 백신 폐기 현황’에 따르면 지난 2월 26일부터 7월 1일까지 폐기된 백신은 총 8886회분인 것으로 집계됐다.
백신 폐기 사유는 ‘백신 온도 일탈’이 전체의 86.2%(7767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백신용기 파손(956건·10.8%), 사용가능 시간경과(30건·0.3%), 유효기간 경과(120건·1.4%), 접종과정 오류(113건·1.4%), 기타(278회분, 3.1%) 순으로 나타났다.
접종 기관별로는 의원(3335건·37.5%)에서 폐기량이 가장 많았다. 병원(2903건·32.7%), 요양병원(1290건·14.5%) 등이 뒤를 이었다.
백신 폐기 건수는 일반 의원 등에서도 백신 접종이 본격화되면서 눈에 띄게 늘었다. 지난 2월 100건에 그쳤던 백신 폐기 건수는 3월 1332건으로 급증했다 4월 444건으로 줄었지만 5월 2588건, 6월 4380건으로 다시 늘어났다.
백신 종류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폐기가 7620건(85.8%)으로 가장 많았다. 초기 도입 물량이 가장 많았던 영향으로 보인다. 화이자는 1146건(12.9%), 얀센은 90건(1.0%), 모더나는 30건(0.3%)이었다.
신 의원은 “작년 독감 백신 사태 당시에 백신 콜드체인 유통 문제와 의료기관 백신 냉장고의 온도 이탈 문제를 지적한 바가 있음에도 개선이 미흡한 실태가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3분기 대규모 접종이 진행될 예정인 만큼 백신 보관 냉장고의 온도·유통 보관·주사 용기 안전 관리 등 노력을 기울여 폐기량 최소화를 위해 노력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전했다.
김아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