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청해부대 문무대왕함 승조원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와 관련해 “우리 군이 나름대로 대응했지만, 국민의 눈에는 부족하고 안이하게 대처했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렵다. 비판을 겸허하게 받아들인다”고 밝혔다. 코로나 확산을 막지 못한 군과 정부의 실책을 인정한 것이다.
다만 국군 통수권자인 문 대통령은 직접 사과를 하지는 않았다. 대신 서욱 국방부 장관이 지난 15일 청해부대 내 최초 확진 사례가 나온 지 닷새 만에 대국민사과를 했다. 서 장관의 대국민사과는 올해만 벌써 6번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청해부대원들이 전원 국내로 돌아온다. 우리 장병들의 안전이 곧 국가 안보라는 생각으로 코로나 방역에 만전을 기해주기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부대원들이 충실한 치료를 받고, 조속히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주기 바란다. 애가 타는 부모님들에게도 상황을 잘 알려서 근심을 덜어줘야 할 것”이라며 “다른 해외파병 군부대까지 다시 한번 살펴주기 바란다. 우리 공관 주재원 등 백신 접종의 사각지대에 놓인 국민들의 안전대책도 함께 강구해 달라”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정부와 군을 향한 비판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은 맞지만, 대통령 명의의 사과를 한 건 아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미 국방부 장관의 사과가 예정돼 있는 상황이었다”며 “문 대통령이 일단 청해부대 사태의 신속한 해결을 당부했다. 대통령의 사과는 집단감염 사태가 마무리되고 책임 소재를 파악한 뒤 상황을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욱 장관은 국방부 청사 브리핑룸에서 “해외 바다에서 헌신해온 장병들을 세심하게 챙기지 못해 다수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것에 대해 무거운 책임을 통감한다”며 “청해부대 장병 및 가족과 국민 여러분에게 깊은 사과를 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군은 해외파병 부대원을 포함한 모든 장병들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적극 추진했지만 청해부대 백신접종 노력에는 부족함이 있었다”고 잘못을 인정했다. 서 장관은 이날 예정돼있던 부대 현장 점검 등 공개된 오후 일정들을 모두 취소했다.
앞서 국방부는 문무대왕함 탑승 부대가 군 접종 시작 전인 지난 2월 출항했고, 접종 후 이상반응 대처가 어려웠으며, 냉동시설 등 백신 보관기준 충족이 제한됐다는 이유를 들며 ‘접종불가론’을 폈다. 이에 군이 변명에만 몰두한다는 질책이 이어졌다.
박세환 김성훈 기자 foryou@kmib.co.kr